인도 외교부 "송환 요청 접수돼…방글라 국민 확고하게 지지"

셰이크 하시나 전 방글라데시 총리
[AFP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자카르타=연합뉴스) 손현규 특파원 = 인도 정부가 지난해 대학생 시위를 유혈 진압했다가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최근 사형을 선고받은 셰이크 하시나(77) 전 방글라데시 총리를 본국으로 돌려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2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외교부는 방글라데시 과도정부의 요청에 따라 하시나 전 총리와 관련한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란디르 자이스왈 인도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을 열고 "(방글라데시의 송환) 요청을 접수했고 검토하고 있다"며 "우리는 방글라데시 국민을 확고하게 지지하고, 이번 문제와 관련해 모든 이해관계자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방글라데시 과도정부는 현재 인도에 머무르는 하시나 전 총리를 즉각 송환하라고 요청했으나 인도 외교부는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인도와 방글라데시는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한 상태이며 방글라데시 과도정부는 지난해에도 그의 송환을 공식 요청했지만, 인도는 이에 응답하지 않았다.
앞서 하시나 전 총리는 지난 17일 방글라데시 다카 법원에서 열린 궐석 재판에서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재판부는 그의 살해 지시, 유혈 진압 조장, 잔혹 행위 방치 등 3가지 혐의를 유죄로 판단하면서 "반인도적 범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충족됐다"고 밝혔다.
2차례에 걸쳐 21년 동안 집권해 '독재자'로 불린 하시나 전 총리는 지난해 독립전쟁 유공자의 후손에게 공직 30%를 할당하는 정책을 추진했다가 반발 여론에 부딪혔다.
이후 그는 대학생 시위를 진압하다가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자 같은 해 8월 사퇴한 뒤 자신의 정부를 후원해온 인도로 달아났다.
유엔인권사무소는 지난 2월 보고서를 통해 당시 3주 동안 벌어진 반정부 시위에 대한 유혈 진압으로 최대 1천4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방글라데시 검찰은 교사, 선동, 공모, 방조, 집단살해 방지 실패·조장 등 5개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하시나 전 총리를 기소했다.
현재 인도 델리에 머무르는 그는 이미 지난해 체포영장 3건이 발부됐고 법원이 귀국 명령을 했는데도 계속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다.
하시나 전 총리는 지난달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이번 재판은 정치적 동기로 꾸며낸 쇼"라며 "유죄 판결이 미리 정해진 가짜 재판소에서 진행됐고, 사전 통보나 의미 있는 변론 기회조차 대부분 거부당했다"고 주장했다.
so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