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이후 연간 40억 수준…"美 메트로폴리탄과 비교하면 1/20"
민형배 "'K-컬처 300조' 달성 위해 문화 인프라 투자 강화해야"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500만명↑기록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15일까지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이 총 501만6천3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연간 관람객이 500만명대를 기록한 건 1945년 박물관(당시 국립박물관) 개관 이후 처음이다. 사진은 17일 박물관 관람객들 모습. 2025.10.17 mjkang@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올 한해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이 510만명을 넘었으나, 유물 구입을 위한 예산은 10년째 제자리라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소장품 구입 예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2024년 약 10년간 박물관의 '유물 구입비'는 연간 약 40억원이었다.
소장품 예산은 2015년 39억8천만원으로 책정된 이후, 2017∼2019년에 39억8천700만원으로 소폭 오르기도 했으나 2020년부터는 5년째 39억7천900만원 수준이다.
최근 고미술 업계 상황을 고려하면 관련 예산이 부족하다는 의견은 꾸준히 있었다.

북적이는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15일까지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이 총 501만6천3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연간 관람객이 500만명대를 기록한 건 1945년 박물관(당시 국립박물관) 개관 이후 처음이다. 사진은 17일 북적이는 박물관 모습. 2025.10.17 mjkang@yna.co.kr
원본프리뷰
2022년 간송 전형필(1906∼1962)의 후손이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과 '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등 국보 2점을 경매에 출품했을 당시, 박물관 측은 응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두 유물의 경매 시작가를 합하면 60억원으로, 연간 예산으로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에 앞서 2020년 간송 측이 보물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과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을 경매에 내놨을 때도 국립중앙박물관은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경매는 유찰됐고, 박물관은 3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으로 두 점을 인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30억원 미만이어도 예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금액이다.

소장품 구입 예산 비교
[민형배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민형배 의원 측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도 상황이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공개된 자료를 보면 국립현대미술관의 연간 소장품 구입 예산은 2017년 61억700만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감소했고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는 약 4년간 48억4천600만원 수준이다.
의원실은 "10년 새 소비자물가지수가 19.98%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박물관·미술관의 실질 구매력은 '마이너스'가 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은 해외 주요 미술관·박물관과 비교해도 차이가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론 뮤익 개인전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의원실에 따르면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2018년 하반기∼2022년 상반기까지 소장품 구입 예산 총합은 2억2천959만 달러(한화 약 3천268억원)에 달한다.
연평균을 내면 약 817억원, 국립중앙박물관 연간 예산의 20배가 넘는다.
지난해 약 648만명이 방문한 영국박물관 역시 연평균 소장품 구입 예산이 약 200억원대라고 의원실은 전했다.
민형배 의원은 "소장품 확보와 학예인력 확충은 문화 주권을 지키는 투자"라며 "K-컬처 300조 시대 달성을 위해서는 문화 인프라 투자부터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ye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