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까지 정국 혼란 우려도…"대선도 빨리 끝나서 안정되길"
노란우산 폐업건수 증가세…길어지는 경기침체에 '한숨'

식당·주점 등 외식업 다 악화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지난 11일 서울 홍대 부근 상업지역 모습. 2025.3.11 cityboy@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차민지 기자 = "경기는 나아질까요?"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을 지켜본 자영업자들은 실낱같은 기대감을 내비쳤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이후 4개월가량 이어진 정국 혼란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데 우선 안도하는 분위기다.
서울 중구의 한 꽃 가게 점원은 "아주 지긋지긋했는데 이제 계속 싸우지는 않을 테니 좀 나아지지 않겠냐"며 "특히 꽃은 좋은 일이 많아야 잘 팔리는데 분위기가 좀 더 좋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은평구에서 부동산을 운영하는 A씨는 "사람들이 정국이 어찌 될지 모르니 집을 사거나 하는 큰 소비를 하지 않았다. 손님이 많이 줄어들었다"며 "이제 혼란스러운 싸움을 끝내고 빨리 안정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자영업자들은 그러나 당장 경기가 개선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하지 않았다.
헌법재판소의 선고로 탄핵정국은 해소됐지만 앞으로 치러야 하는 대통령 선거까지 정치적인 혼란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서다.
매주 주말 광화문 광장, 국회가 있는 여의도 등에서 산발적으로 정치 집회·시위가 이어질 수 있는 데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는 사람들이 지갑을 잘 열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광화문에서 주점을 운영 중인 70대 김모씨는 "세상이 혼란스럽고 경기가 어렵다 보니 평일 저녁 손님이 빠졌다. 특히 이번 주는 평소보다 유난히 손님이 적다"고 전했다.
강남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한 사장은 "오피스상권이라 사실 시위와는 상관이 없지만 계엄 이후 나라 분위기가 가라앉은 영향은 어느 정도 있는 것 같다"며 "대선이 빨리 끝나야 좀 나아질 것 같다"고 말했다.

식당·주점 등 외식업 모두 악화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지난 11일 서울 신촌 연세로 부근 상업지역 모습. 2025.3.11 cityboy@yna.co.kr
원본프리뷰
정국 혼란이 안정된다 해도 자영업자들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경기침체가 오랜 기간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 지급건수는 각각 1만2천633건, 1만477건에 달한다. 통상 지급건수는 1월에 가장 많지만, 2월에도 1만건이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월 지급액도 1천434억원으로 지난해 2월(1천150억원)보다 늘었다. 국세청 폐업신고 사업자(개인·법인)도 2023년 98만6천487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손님이 없어 문을 닫는 상황이다 보니 '권리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강서구 마곡의 한 상가에서 6년간 쌀국수 가게를 운영하다 지난달 초 문을 닫은 한 자영업자는 권리금을 받지 못하고 나왔다. 장사가 잘되던 때는 권리금을 1억까지 주겠다는 제안도 받았지만, 이 자리는 현재도 공실인 상태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본부장은 "불확실성이 바로 해소되면 좋지만 대선 등을 앞두고 추가로 갈등이 확산할 수 있다는 걱정도 있다"며 "정치 자체가 큰 타격을 준다기보다 내수 침체, 관세, 환율 등 여러 요소에 플러스알파로 작용하다 보니 자영업자들의 형편이 나아지려면 전체적으로 상황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aeran@yna.co.kr, chach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