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JP모건 "세계경제 침체 확률 60%"…커진 R 경고음(종합)
입력 2025.04.04 01:33수정 2025.04.04 01:33조회수 0댓글0

월가, 美경기침체 진입 경고…UBS "美, 기술적 침체 예상"
올해 연준 금리인하 예측도 "4회" "0" 엇갈려
'채권왕' 빌 그로스 "떨어지는 칼날 잡지 마라"


세계 경제 '트럼프 관세 폭풍' 속으로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뉴욕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황정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과 세계 경제가 침체국면에 진입할 위험이 커졌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나오고 있다.

◇ 경기침체 전망 잇따라…역성장 전망도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같은 관세율은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봤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1968년 이래 가계와 기업에 대한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이라고 표현하면서 "보복, 미국 기업의 심리 위축, 공급망 붕괴 등을 통해 이번 세금 인상의 영향이 확대될 것"이라고 했다.

또 "발표된 정책들이 전면적으로 시행되면 우리의 전망에 반영되지 않은 상당한 거시경제적 충격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따라서 이러한 정책들이 지속된다면 올해 미국 경제와 아마도 세계 경제를 경기침체에 빠뜨릴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상호관세 발표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UBS의 조너선 핑글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핑글 이코노미스트는 "경기 확장세는 이미 둔화되고 있었고, 재정지원은 약해지고 있었으며, 소비 강도도 축소되고 있었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약화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고 진단했다.

노무라 증권은 관세를 반영함에 따라 올해 미국 경제가 0.6% 성장에 그치고 인플레이션은 4.7%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비해 바클레이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올해 미국 경제가 0.1%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을 수정했다. 인플레이션은 3.7%로 예상했다.

◇ 미국 금리인하 "4회" "0"…딜레마 보여줘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마크 해펠은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최대 4차례 금리를 내려야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선 올해 2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면 모건스탠리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가펜은 연준이 금리를 전혀 내릴 수 없을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가펜과 그의 팀은 연준이 오는 6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을 접고 연준이 다시 금리를 내리려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가펜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단기적 파장을 빠르게 완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전망이 극명히 엇갈리는 것은 현재 경제의 딜레마가 얼마나 이례적이고 어려운지를 보여준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다만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이날 잠시 4%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올해 연준이 네 차례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데 시장 컨센서스가 형성돼 있음을 뜻한다고 블룸버그는 풀이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에버코어 ISI에서 중앙은행 전략을 총괄하는 크리슈나 구하는 2~3회 금리인하 전망을 유지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경기침체 국면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되지 않을 가능성, 2~3회 인하될 가능성, 5회 이상 인하될 가능성이 모두 거의 같다"고 말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이날 한 행사를 위해 사전 배포한 연설문에서 관세로 성장이 둔화하고 인플레이션 하락이 지연되는 상황을 내다봤다.

쿡 이사는 "인플레이션은 상승, 성장은 하락으로 위험이 치우쳐진 시나리오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며 "이런 시나리오는 통화정책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양쪽 모두에 불확실성과 위험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전망을 바꿀 수 있는 상황을 계속 주시해야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또 최근 상품 가격 상승을 언급하며 이는 관세가 비용을 높일 수 있다는 판매자들의 기대감을 부분적으로 반영한 것일 수 있다면서 관세는 일반적으로 전체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으로 끌어올리지만 "통화정책에서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타델 증권의 미국 인플레이션 책임자 더럼 아브릭은 "(2월 3.1%를 기록한) 근원 CPI가 4.5%까지 상승할 수 있다"며 "우리는 향후 3~6개월 인플레이션이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향후 1년~1년반까지도 지속적인 압력이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애나 옹은 "올해 4분기 근원 PCE 상승률 전망치를 이전 2.8%에서 3.0%로, 실업률 전망치를 4.5%에서 4.8%로 상향 조정한다"며 "관세에 따른 부담 대부분이 노동 시장과 기업 이윤에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 "떨어지는 칼날 잡지 마라"…미국 증시 추가 하락 경고도

뉴욕증시가 추가 하락을 이어갈 것이란 경고도 나왔다.

RBC캐피털마켓츠의 로리 칼바시나가 이끄는 주식전략팀은 상호관세 여파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4,900∼5,300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월 고점 대비 낙폭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칼바시나 전략가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추가 조치가 부여되지 않은 점과 협상 여지가 남았다는 점은 희망적인 요인이라고 지목하면서도 예외 조항의 부재와 최종 관세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 지속, 경제 심리 악영향 등을 우려 요인으로 지목했다.

'채권왕' 빌 그로스도 투자자들에게 보낸 메일에서 이번 매도세는 해결의 실마리가 거의 보이지 않는 "깊은 시장 이벤트"라며 관망세를 유지할 것을 권고했다.

채권운용사 핌코의 공동창립자인 그로스는 "떨어지는 칼날을 잡으려고 해선 안 된다"며 "이것인 부정적인 결과를 즉각 초래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1971년과 금본위제 종말과 비슷한 서사적인 경제 및 시장 이벤트"라고 진단했다.

pa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엽기떡볶이
치맥킹
mamaron_party
mamaron_kitchen
mamaron_tokyo
한터애드
딤채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