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대통령실, '동북아 3국' 표기 순서 '한중일'로 통일키로
입력 2025.11.16 03:05수정 2025.11.16 03:05조회수 1댓글0

'대중 유화·대일 견제'?…오랜기간 한중일, 尹정부 '한일중'으로 변경
"前정부 외교, 日에 과도하게 치우쳐…원래대로 되돌려놔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영접하는 이재명 대통령

(경주=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한중 정상회담이 열리는 경북 국립경주박물관에 도착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영접하고 있다. 2025.11.1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설승은 기자 = 이재명 정부가 앞으로 동북아 3국의 공식 표기 순서를 '한중일'로 통일하기로 했다.

전임 윤석열 정부에서는 '한일중'과 '한중일' 표기를 혼용하던 것을 '한중일'로 원상복구, 중국을 일본에 앞서 표기하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가운데 나온 조치여서 대중 유화 제스처의 일환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며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로 통일해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난 정부의 표기 혼용으로 '어느 나라와 더 가깝나'하는 등의 소모적 논쟁이 이어졌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북아 3국의 표기는 전임 정부 이전까지는 '한중일'이 일반적이었다는 것이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동북아 3국 정상회의체의 경우에는 개최 순번(일본-중국-한국)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라고 쓰기는 했으나 그 외에는 한중일 순서로 언급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2023년 9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정부는 동북아 3국을 '한일중' 순서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당시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관계자는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 일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어 '북미'보다 '미북',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한일 정상, APEC 개최지 경주서 '첫 대면'…41분간 '협력 강화' 논의


원본프리뷰

이런 가운데 나온 이번 '한중일' 표기 복원 방침을 두고 정부 안팎에선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 외교 기조 아래 나온 '대중 유화·대일 강경' 조치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전임 정부가 일본에 편중된 외교 기조로 중국을 배제하며 실리를 잃은 측면이 있다고 보고, 실사구시의 실용 외교 기조로 대중 관계를 회복하려는 차원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이 대통령도 최근 대중 관계 복원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일 경주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뒤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실용과 상생의 길로 다시 함께 나아가게 됐다"고 평가했다.

지난 14일 핵 추진 잠수함 도입 등 중국이 민감히 반응할 수 있는 사안도 담긴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발표하면서는 "중국과 꾸준한 대화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길을 흔들림 없이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외교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균형인데, 전임 정부는 이념 외교를 하며 일본 중심으로 과도하게 치우친 측면이 있다"며 "이를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se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여행나무
냥스튜디오
월드크로스 여행사
한일여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