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게임위드인] '위기론' 속 반전…지스타 2025, 해외가 살렸다
입력 2025.11.16 02:25수정 2025.11.16 02:25조회수 0댓글0

PC·콘솔·서브컬처 중심으로 전시 재편…모바일 비중 축소
글로벌 게임사·G-CON 흥행…체감 관람객은 감소


뜨거운 지스타 열기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13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게임쇼 2025 지스타가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지스타는 오는 16일까지 총 44개국, 1천273개사, 3천269부스 규모로 열린다. 2025.11.13 handbrother@yna.co.kr

원본프리뷰

(부산=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가 올해 전시 규모 축소, 대형 게임사의 연이은 불참으로 제기된 '위기론'에도 해외 기업 비중을 늘리며 건재함을 드러냈다.

메인 스폰서 엔씨소프트[036570]를 비롯해 넷마블[251270], 크래프톤[259960] 등 국내 대형 게임사는 지난 13일 개막한 지스타를 통해 연말부터 내년 이후까지 선보일 신작 게임 라인업을 소개했다.

2025 지스타 개막…게임 삼매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13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게임쇼 2025 지스타에서 관람객들이 게임을 즐기고 있다. 지스타는 오는 16일까지 총 44개국, 1천273개사, 3천269부스 규모로 열린다. 2025.11.13 handbrother@yna.co.kr

원본프리뷰

◇ PC·콘솔 게임 비중 갈수록 커져…모바일은 서브컬처로

코로나19 이후 강세를 보이던 PC·콘솔 라인업은 올해 지스타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엔씨소프트는 올해 지스타에서 PC·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2'와 PC·콘솔 슈팅 게임 '신더시티'를 중심으로 시연 공간을 구성했다.

넷마블도 '나 혼자만 레벨업: KARMA'를 제외하면 모바일 기반 게임도 PC를 중심으로 시연대를 구성했고, '이블베인'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의 휴대용 게이밍 PC 'ROG 엑스박스 얼라이'로 게임을 공개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스타에 '콘솔게임 공동관'을 내고 국내 우수 콘솔 게임을 체험해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서브컬처(애니메이션풍) 게임의 비중도 커졌다.

'뮤'와 'R2' 등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장르가 중심이던 웹젠[069080]은 서브컬처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올해 라인업을 꾸리고, 자체 개발작 '테르비스'와 퍼블리싱 작품 '게이트 오브 게이츠'를 전시했다.

두 작품 모두 미소녀 캐릭터를 수집하고 배치해 전투를 펼치는 전형적인 서브컬처 게임이다.

위메이드커넥트도 레트로캣이 개발한 서브컬처 역할수행게임(RPG) 노아(N.O.A.H.)를 출품했다.

2025 지스타 긴 대기줄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13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게임쇼 2025 지스타에서 관람객들이 게임을 즐기고 있다. 지스타는 오는 16일까지 총 44개국, 1천273개사, 3천269부스 규모로 열린다. 2025.11.13 handbrother@yna.co.kr

원본프리뷰

◇ 해외 게임사 참가 늘고 콘퍼런스도 인기

해외 대형 게임사의 참가가 늘어난 점도 눈에 띈다.

지스타 제2전시장에는 체코 게임 개발사 워호스 스튜디오, 일본 반다이남코·세가/아틀러스를 비롯해 블리자드, 유니티 등 해외 게임사들이 부스를 내고 참가했다.

신작 공개가 아닌 기존 게임 중심의 팬서비스에 가까웠고 제1전시장에 비하면 규모도 작았지만, 많은 게이머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이스케이프 프롬 타르코프'를 만든 러시아 게임사 배틀스테이트 게임즈도 올해 지스타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오랜 얼리 액세스(앞서 해보기) 기간을 마친 '타르코프'의 정식 출시를 기념한 지스타 참가로, 제1전시장에 설치된 게임 시연 부스에는 한때 3시간에 가까운 대기 줄이 생겼다.

국내외 게임·콘텐츠 업계 유명인사들이 총출동한 콘퍼런스 'G-CON'도 전례 없는 흥행을 거뒀다.

일본 대형 게임사 스퀘어 대표작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를 만든 게임 디자이너 호리이 유지(堀井雄二)나 '니어: 오토마타' 디렉터 요코 타로(橫尾太郞)의 강연은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였다.

네오위즈[095660] 소속 인기 게임 디렉터들이 진행한 대담 세션은 강연이 끝나고 행사장 밖에서 팬사인회가 열릴 정도였다.

뜨거운 지스타 열기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13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게임쇼 2025 지스타가 관람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지스타는 오는 16일까지 총 44개국, 1천273개사, 3천269부스 규모로 열린다. 2025.11.13 handbrother@yna.co.kr

원본프리뷰

◇ 예년 대비 한산한 전시장…문체부 '패싱'도 아쉬워

반면 제1전시장과 제2전시장을 통틀어 전반적인 관객 수나 밀집도가 예전만큼만 못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제1전시장에서 만난 한 인디게임 개발사 관계자는 "오랫동안 지스타를 가 봤지만 이 정도로 한산한 행사는 코로나 이후 처음이고 업계 관계자가 더 많아보인다"라며 "기대할 만한 대형 신작이 적은 것 때문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게임산업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의 무관심한 모습도 지스타 '위기론'을 부채질했다.

'대한민국 게임대상' 시상식에는 문체부 장관과 차관 모두 불참해 콘텐츠정책국장이 대신 참석했다.

시상식 다음 날 열린 지스타 개막식과 VIP 투어에 문체부를 대표해 참석한 인물은 그 아래 게임콘텐츠산업과장이었다.

지스타 기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심사가 겹쳤다고는 하지만 2개월 전 같은 도시에서 열린 부산국제영화제(BIFF) 때에 비하면 문체부의 관심이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기업의 해외 게임쇼 참가 증가, '애니메이션 X 게임 페스티벌'(AGF) 같은 대체 행사 등장으로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지스타의 고민은 앞으로도 깊어질 전망이다.

juju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여행나무
냥스튜디오
월드크로스 여행사
한일여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