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WSJ "한화, 10년내 美서 매년 원잠 2∼3척 건조 목표"
입력 2025.11.11 02:42수정 2025.11.11 02:42조회수 0댓글0

"한화필리, 연간 생산량 최대 20척으로…수천명 신규채용 등 추진"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오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한화필리조선소를 갖고 있는 한화 측이 향후 10년 이내에 미국에서 매년 2∼3척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을 만든다는 내부 계획을 갖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이날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한화가 신규 프로젝트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필리조선소 주변 지역에서 사업 확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한화오션이 지난해 12월 인수한 필리조선소는 한국과 미국이 협력하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핵심으로 평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쇠퇴한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고 공언해왔다.

WSJ의 이날 보도는 한국이 최근 승인 받은 원잠 건조의 장소를 놓고 일부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30일 한국의 원잠 건조를 승인하면서 필리조선소를 건조 시설로 콕 집어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원잠의 '국내 건조'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7일 원잠의 건조 장소와 관련 "(한미) 정상 간 대화에서는 한국에서 짓는 것으로 논의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지난 5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필리조선소는 기술력과 인력, 시설 등이 상당히 부재한 면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원잠을 국내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WSJ은 이날 기사에서 한화가 건조를 목표로 한다는 2∼3척이 한국의 원잠인지, 미 해군에 인도할 원잠인지 등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부산작전기지 입항한 미 원자력추진잠수함 컬럼비아함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원본프리뷰

이 신문은 아울러 한화필리조선소가 연간 생산량을 최대 20척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소개했다.

필리조선소에 신규 인력 수천명을 채용하고 새 대형 크레인과 로봇 장비, 교육 시설 등을 도입한다는 게 한화 측의 계획이다.

현재 한화필리조선소는 1년에 상선 한 척을 생산하는데, 이는 한화가 한국에서 일주일 만에 할 수 있는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데이비드 킴 필리조선소 대표는 한국의 접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WSJ에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방식대로 일을 계속할 수는 없다"며 "우리는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WSJ은 필리조선소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이는 다른 어려움을 겪는 미국 조선소들의 모델이 될 수 있다"면서도 "이를 위해선 안정적인 정치적 뒷받침과 대규모 인력 투입, 충분한 자금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어 "한화는 원잠을 만든 적이 없고, 미국은 핵 관련 기술을 동맹에도 엄격히 통제해왔다"며 이제 필리조선소에서 원잠을 건조할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사업의 규모와 난이도는 훨씬 더 커졌다고 분석했다.

hrse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여행나무
냥스튜디오
월드크로스 여행사
한일여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