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 5분→24시간 연장에 "마음 편하다"
언론진흥재단 카톡 이용자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카카오톡 친구 탭 개편
[카카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온라인 메신저 카카오톡(카톡)이 친구 소식을 인스타그램의 피드처럼 보여주도록 개편한 것에 대해 이용자 다수는 피로감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1일 공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카톡 친구 탭 개편이 반영된 버전을 사용하는 이들의 90.1%는 '별로 알고 싶지 않은 소식까지 보게 돼 피로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카톡은 프로필 변동 내역을 자동으로 보여주도록 최근 친구 탭을 개편했는데 이를 통해 제공되는 과도한 정보에 스트레스는 받는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카톡 이용자 중 친구 탭 개편으로 '내 활동이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 부담스럽다'고 답한 이들은 90.9%로 집계됐다.
'친구들 소식에 하트나 댓글로 소통할 수 있어서 편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20.9%, '친구 근황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편하다'고 답한 이들은 20.5%로 긍정적 반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카톡 이용자의 79.7%는 친구 탭 개편 전 버전으로 돌리고 싶다고 답했다.
카톡의 기능 개편 중 대화방의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을 5분에서 24시간으로 대폭 늘린 것에 대해서는 '실수를 바로잡을 여지가 커져 마음이 편하다'고 답한 이들이 84.3%였다. 또 '메신저의 삭제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반응한 이들은 80.6%였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다만, 삭제 시간이 연장된 것이 '책임을 회피하는 데 악용될 소지가 있다'(67.5%) 혹은 '대화 내용이 바뀌거나 사라져 대화 상대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것 같다'(50.6%)와 같은 역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카톡이 본격적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앱 내에서 챗GPT를 구현하는 등 인공지능(AI) 기능을 확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너무 많은 기능을 담아 복잡하고 혼란스럽다'는 의견이 86.1%였고 '미디어 환경을 고려할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평가는 61.2%였다. '더 편리하다'고 답한 이들은 38.1%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카톡 이용 경험이 있는 20∼60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9일∼이달 2일 실시됐다.
sewonle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