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韓증시, 주요국 중 수익률 1위…"유동성 장세 속 정책 기대감"
입력 2025.09.17 12:25수정 2025.09.17 12:25조회수 0댓글0

美연준 금리인하 재개 전망·대주주 기준 유지·3차 상법 개정 논의에 '불장'


코스피 3,400 돌파 (PG)

[김선영 제작] 일러스트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한국의 주가 지수가 이달 들어 주요 국가 지수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달 1∼15일 코스닥 지수의 수익률은 7.00%, 코스피 수익률은 6.95%를 기록했다.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대표 주가 지수 40개 중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코스피는 지난 2일 이후 16일까지 11거래일 연속 상승했으며, 지난 15일에는 전인미답의 3,4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이튿날인 16일에는 장중 3,450선까지 넘어서며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였다.

이 같은 국내 주가지수의 가파른 상승세는 외국인 투자자가 견인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지난 16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는 6조6천281억원, 코스닥 시장에서는 874억원 각각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같은 기간 9조2천613억원, 1천674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증권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에 전 세계적으로 유동성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은 국내 정책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지수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했다.

정부 증시 부양 의지의 '상징'처럼 돼 버린 주식 양도세 부과 대상 대주주 기준을 정부가 종목당 50억원으로 유지하기로 한 데다, 정치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3차 상법 개정안 등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최재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는 실적 전망의 하향 압력이 우위에 있으나 과거 사례들만큼 그 강도가 강하지 않다"며 "결국 실적 변동에 기인한 부분보다는 정부의 정책 드라이브에 힘입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글로벌 증시와 비교한 국내 증시의 단기 상승 속도를 감안한다면, 향후 정책 방향성 및 9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후 금리 인하 경로에 따라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그는 "하반기 기업들의 실적 전망 하향 조정이 잦아들고, 소폭 반등을 모색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또한 캘린더 효과를 반영한 선행 12개월 실적 전망은 연말까지 약 5%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멀티플(배수) 유지 시 펀더멘털 개선에 기반한 상승 모멘텀(동력) 지속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달러 약세, 저유가, 저금리의 '3저 조합'이 "1986년 이후 40년 만에 다시 나타나고 있다"면서 여기에 배당 분리 과세 등 국내 정책이 "한국 증시를 더 높은 곳으로 이끌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향후 증시 약세장(-20% 내외)을 만들 이슈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라고 생각하며, 지금 봤을 땐 이를 경계해야 할 시기는 내년 하반기쯤"이라고 말했다.

engin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월드크로스 여행사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