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증권가, 노동안전 대책 파장 촉각…"안전관리 기업 생존에 직결"
입력 2025.09.16 01:10수정 2025.09.16 01:10조회수 0댓글0

"적극적인 주택공급 어려워"…9·7 부동산대책과 어긋난다는 지적도


남산에서 바라면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증권가는 16일 정부의 노동안전 종합대책이 안전 관리 문제를 건설사의 생존에 직결시켰다며 수위가 상당하다고 판단했다.

건설사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을 어렵게 해 정부의 부동산 공급 정책 기조와 다소 어긋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고용노동부가 전날 내놓은 노동안전 종합대책은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가 빈발하는 건설사는 아예 등록 말소를 요청해 영업 활동을 중단시키고, 연간 3명 이상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기업에 영업이익 5% 이내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다.

증권가는 이번 대책이 건설 현장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봤다.

우선 건설사 수익성과 수주 활동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의 5% 이내 과징금 신설은 매출원가율이 약 0.3%포인트 증가하는 효과와 같다"면서 "이번 대책은 건설 경영에 실질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내용"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무엇보다 건설업 등록 말소라는 강력한 제재가 고용노동부 요청으로 가능해지면서 건설업의 계속 사업 영위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됐다"며 "사업장 관리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적극적인 수주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전 관리를 위한 건설 현장 관련 비용이 증가하면서 수주, 매출, 공사기간, 재무건전성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생기고 자금조달 시장 안에서도 건설업에 대한 리스크가 확대돼 다방면에서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건설사들에 안전 비용을 의무 비용으로 전환함으로써 안전 관리를 넘어 생존의 문제로 격상시켰다"면서 "수주 가뭄과 인건비 상승에 이어 안전관리 의무 강화라는 '삼중고'를 겪게 됐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공급보다 안전을 우선하는 정부의 이번 정책이 주택 공급 증가라는 부동산 정책 기조와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고층 주택인 아파트 건설 현장이나 변수가 많은 인프라 현장의 경우 사고가 잦은 만큼 주택 공급이나 인프라 확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최근 건설들은 수익성 위주의 수주로 목표를 변경했기 때문에 매매가 상승이 주춤한 가운데 분양가에 (이번 대책으로 발생할) 모든 비용을 전가하지 못하면 건설 투자 확대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의 9·7 부동산대책에 속한 연평균 27만가구 공급에 대해 "연간 27만호 공급은 공공과 민간 건설사 모두 어느 정도 적극적으로 착공했을 시 가능한 수준"이라며 "시행·시공 사업에 대한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에 대한 위험의 증가는 정부의 적극적인 공급 정책의 가시성을 낮추는 요인"이라고 봤다.

증권가는 건설사 종목에 대한 보수적인 투자전략을 권고했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으로 인한) 비용 증가의 여부, 증가의 정도에 따라 건설사들의 내년 실적 추정치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여전히 주택주에 대한 관망하라는 투자의견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건설주는 주가상 큰 타격을 받지는 않는 분위기다.

코스피 건설 업종은 이날 오전 9시 50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1.17% 상승하고 있다. 개별 종목 중 현대건설[000720](3.17%), 계룡건설[013580](1.74%), 금호건설[002990](1.00%), GS건설[006360](0.92%) 등의 오름폭이 특히 크다.

ykba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월드크로스 여행사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