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팩트체크] '노인의 성지' 종로·제기동도 옛말…서울 어르신 행선지 보니
입력 2025.09.16 12:12수정 2025.09.16 12:12조회수 0댓글0

팁골공원 주변 종로 일대 지하철 무임하차 비중 감소
대신 고속터미널·사당·잠실 등 많이 찾아…"노인도 번화가가 좋아"


연륜 대결

2024년 10월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어르신들이 장기를 즐기고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빛나 기자 = '어르신들의 성지'로 불렸던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 최근 장기판이 사라지면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서울 종로구청과 종로경찰서는 서울 최초의 근대식 공원으로 국가유산 사적인 탑골공원을 보호하기 위해 바둑, 장기 등 오락 행위를 제한했다. 특히 장기판 자진 철거를 유도하면서 무질서한 행위가 크게 줄고 공원 환경이 개선됐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한편으로는 노인들이 갈 곳을 잃었다는 비판도 있었다.

그동안 탑골공원 인근의 종로3가역을 중심으로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등 서울 지하철 1호선 일대가 노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으로 알려졌다.

7월29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어르신들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그러나 이번 '장기 금지령' 같은 시대 변화 속에서 노인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서울 지하철의 무임 승하차 데이터를 토대로 노인들이 가고 있는 곳을 확인해봤다. 올해 7월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무임교통카드 보유자 중 84%는 만 65세 이상 노인이고, 나머지 16%는 장애인이다. 이를 통해 대략적인 노인들의 행선지를 유추해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무임하차 장소 중 종로3가·제기동·청량리 등 전통적인 '노인의 성지' 비중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대신 고속터미널이나 사당, 잠실 같은 번화가로 향하는 노인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 어르신 교통카드

[촬영 김재근]

원본프리뷰

◇ 발길 줄어든 종로3가…순위 밀려난 청량리·제기동

무임하차역 1∼3위는 오랫동안 종로3가, 청량리, 제기동역이었다. 그러다 2021년을 기점으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2015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서울 지하철 무임 승하차 인원을 분석한 결과, 전체 하차역 가운데 이들 세 역의 비중은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시 지하철 무임하차역 비율

2015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서울시 지하철 무임 하차역 비율 그래프. 2015년 1~3위를 지켰던 종로3가·제기동·청량리 비율이 하락세를 보인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2018년에 서울시가 공개한 무임교통카드 이용 현황에 따르면 당시 무임승차자의 하차역 1위는 종로3가역으로, 1.7%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청량리역(1.5%), 제기동역(1.2%)이 뒤를 이었다.

종로3가역은 2015년 이후부터 '부동의 1위'다. 그러나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5년에는 무임하차역 중 종로3가역 비중이 2.44%였지만 2021년에는 1.99%로 줄어들었고 지난해에는 다시 1.82%로 감소했다.

'노인의 강남'이라 불리는 제기동역과 청량리역은 감소세가 더 눈에 띈다. 제기동역의 경우 전체 하차 인원 중 무임교통카드 이용자가 절반에 달할 정도로 노인 비중이 높은 곳이긴 하다. 그러나 무임하차역 순위는 2015년 3위에서 지난해에는 5위로 떨어졌다.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대신 상위권에 오른 역은 고속터미널, 사당, 잠실역이다.

[표] 서울 지하철 1~9호선 무임 하차역 순위 변화

2015년2021년2024년
순위지하철역비율(%)지하철역비율(%)지하철역비율(%)
1종로3가2.44종로3가1.99종로3가1.82
2청량리(지하)1.56제기동1.37고속터미널1.53
3제기동1.5고속터미널1.28사당1.31
4고속터미널1.34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1.28노원1.27
5동대문1.31동대문1.25잠실(송파구청)1.24
6사당1.25종로5가1.17제기동1.2

※출처: 서울시 공공데이터

올해 1∼8월에도 지난해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무임하차역 1위는 종로3가로 1.65%로 1위를 기록했고, 이어 고속터미널(1.56%), 잠실(1.21%)이 2, 3위를 기록했다. 무임하차 인원으로 보면 종로3가에 42만2천여명이 내렸고 고속터미널에 40만명이 내렸다. 잠실역에서 하차한 무임교통카드 이용자는 30만8천명이었다.

[표] 올해 6월~8월 서울 지하철 1~9호선 무임 하차역 순위

2025년 8월2025년 7월2025년 6월
순위지하철역무임하차 인원비율(%)지하철역무임하차 인원비율(%)지하철역무임하차 인원비율(%)
1종로3가422,0751.65종로3가431,2171.72종로3가445,7101.77
2고속터미널400,0481.56고속터미널410,8081.64고속터미널396,2351.57
3잠실(송파구청)308,8351.21잠실(송파구청)324,1501.3사당345,9231.37
4서울역300,0621.17사당311,0591.24잠실(송파구청)312,3991.24
5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298,0991.16서울역295,8701.18서울역308,7621.22
6사당296,7331.16천호(풍납토성)289,7621.16동대문291,0161.15

※ 출처: 서울시 공공데이터

◇ 각종 정비사업·코로나19 계기…종로 대신 고속터미널·사당으로

'탑골공원에서 바둑ㆍ장기 금지'

8월 26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 바둑, 장기 등 오락행위, 흡연, 음주가무, 상거래 행위 등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 배너가 설치돼 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무임하차역 중 종로3가역 비중이 줄어든 데는 우선 서울시의 꾸준한 탑골공원 정비 사업이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시행된 오락 금지행위 외에도 2000년대부터 탑골공원은 여러 차례 탈바꿈을 시도했다.

한국조경학회의 '탑골공원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2001년 처음 '탑골공원 성역화 사업'으로 노인들의 행동이 제한됐다. 이 사업으로 공원에 녹지공간이 확대됐고 여유 공간은 대폭 줄어들었다. 2010년대에는 문화재 조사 등으로 공원 한 쪽을 막기도 했고 종로구청은 2022년 탑골공원 개선 사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콜라텍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2010년대 '노인의 강남'으로 떠올랐던 제기동·청량리 일대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발길이 줄어들었다.

이 일대에서 노인들이 많이 찾았던 콜라텍들이 불황을 겪고 있는 점도 제기동·청량리 지역의 인기가 시들해졌음을 방증한다.

제기동의 한 콜라텍 직원은 "2018년 전성기 때는 하루에 1천명씩 왔지만, 요즘은 150명 정도 온다"며 "60∼70대 '젊은 고객'이 유입이 돼야 하는데 손님이 없다. 지금 단골은 80대와 90대가 대부분이라 코로나19 이후 돌아가신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청량리에 있는 대형 콜라텍 사장도 "3년째 운영비를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청량리에 노인이 많다고 하는데 유흥을 즐기러 오는 경우는 줄었다"고 말했다. 이 콜라텍은 손님을 끌어들이기 위해 오후 4시부터 무료입장을 내걸었다.

사당역 출입구

[촬영 정유진]

원본프리뷰

제기동과 청량리역에서 내리는 노인들이 줄어들었다면 이들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최근 몇 년간 무임교통카드 이용자들이 내리는 곳 중에서 고속터미널·사당·잠실과 같은 번화가 비중이 증가했다.

고속터미널역은 2015년 전체 무임하차역 중 1.34%를 차지했지만, 꾸준히 비중이 늘면서 지난해에는 1.53%를 기록했고 전체 순위 2위에 올랐다. 또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순위가 내려간 대신 사당역이 3위로 올랐다.

사당역은 유임하차 순위보다 무임하차 순위가 높은 곳으로, 노인들 사이에서도 '약속의 장소'로 통한다. 지난 11일 오후 사당역 인근 대형 쇼핑몰에는 평일 낮임에도 불구하고 휴게 의자에 앉아있는 노인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등산모임 친구를 만나러 사당에 온 임철규(82) 씨도 2년 전부터 종로3가역에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 씨는 "나도 노인이지만 노인들 많은 곳이 싫다. 사당, 선릉역처럼 젊은 사람들 다니는 번화가에 있고 싶다"며 "사당역은 교통의 요지라 친구들 만나기도 편하고 거리가 깨끗해서 선호한다"고 말했다.

[표] 2024년 서울 지하철 1~9호선 유·무임 하차역 순위

순위유임하차 순위무임하차 순위
1잠실(송파구청)종로3가
2고속터미널고속터미널
3강남사당
4홍대입구노원
5서울역잠실(송파구청)
6사당제기동
7여의도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8삼성(무역센터)동대문
9구로디지털단지서울역
10신림연신내

※출처: 서울시 공공데이터

nan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월드크로스 여행사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