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조합지위로 2.4조 비과세혜택 새마을금고, 비조합원대출 70%"
입력 2025.09.16 12:11수정 2025.09.16 12:11조회수 0댓글0

허영, 최근 10년간 행안부 자료 분석…타 상호금융과 달리 정보도 비공개
"새마을금고, 금융기관 준하는 역할…투명성·책임성 갖춰야"


MG새마을금고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새마을금고가 상호금융조합의 지위를 근거로 최근 10년간 2조4천억원가량의 과세특례 혜택을 받았지만, 정작 대출비중이 늘어난 것은 비조합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새마을금고가 최근 10년(2015∼2024년)간 조세특례제한법에 근거해 적용받은 비과세·감면 규모는 2조3천951억원이었다.

세부적으로는 ▲ 조합 예탁금 이자소득 비과세 1조5천14억원 ▲ 조합법인 법인세 과세특례 5천891억원 ▲ 조합 출자금 배당소득 비과세 3천49억원이다.

하지만 새마을금고의 대출 구조는 조합원보다 비조합원(회원이 아닌 일반 고객)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허 의원은 지적했다.

작년 말 비조합원 대출잔액은 131조5천944억원으로, 전체 71.6%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 말 90조8천796억원(63.4%)에서 4년 만에 40조원(8.2%) 넘게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조합원 대상 대출 잔액은 50조원대로 큰 변화가 없었던 점과 대비된다.

새마을금고는 금융당국의 비조합원 대출 실태·관리 공시체계에서 다른 상호금융과 달리 제외돼 왔다.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 등 다른 상호금융조합은 금융감독원의 관리감독 아래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통해 비조합원 대출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새마을금고만 이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아 형평성과 관리 공백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허 의원은 지적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공개된 수치를 비교하면 새마을금고의 비조합원 대출 비중은 업권 평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농협의 비조합대출 비중은 41.4%, 수협은 5.3%, 산림조합은 9.0%에 그쳤다.

허영 의원은 "새마을금고가 이미 금융기관에 준하는 규모와 역할을 하는 만큼 그에 걸맞은 투명성과 책임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며 "금융당국도 건전성 관리와 금융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합리적인 감독체계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새마을금고중앙회 측은 "대출잔액은 비회원 비중이 높지만, 이는 기업대출 등 비회원 대출의 건별 금액단위가 크기 때문"이라며 "대출건수를 기준으로 볼 때 회원 비중은 60%에 가깝다"고 해명했다.

eddi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월드크로스 여행사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