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주금공, 전세자금보증사고 5년여간 3조원…대위변제액도 늘어
입력 2025.09.16 12:05수정 2025.09.16 12:05조회수 0댓글0

2020년 3천61억원→2024년 8천250억원…사유 1위는 원금 연체
같은 기간 대위변제액 156% 증가…평균 회수율은 5.9%


[연합뉴스TV 제공]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강수련 기자 = 임대인이 전세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아 발생하는 전세자금보증 사고 금액이 5년여간 3조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전세자금보증 사고 금액은 총 3조 824억원이다.

연도별로는 ▲2020년 3천61억원 ▲2021년 3천244억원 ▲2022년 4천909억원 ▲2023년 7천100억 원 ▲2024년 8천25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는 6월 기준으로 4천260억원을 기록해 연간으로 작년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 건수도 지난 2020년 8천681건에서 2024년 1만4천755건으로 70%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이미 7천747건이 발생했다.

사고 사유별로 살펴보면 사고 금액 기준 원금 연체가 1조2천331억원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했다.

그 뒤를 ▲기타 4천598억원(14.9%) ▲기한이익상실 3천755억원(12.2%) ▲신용관리정보 3천681억원(12%) 순으로 이었다.

2020년~2025년 6월 전세자금보증 사고 발생 현황(단위: 억원)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실, 한국주택금융공사
202020212022202320242025.6
원금연체1,4451,5082,1512,8812,8091,537
이자연체3062734228431,076641
기한이익 상실1733266539691,168466
신용관리 정보524477571856900353
회생·파산210212343538998600
기타4044487691,0141,299664
합계3,0613,2444,9097,1008,2504,260

전세자금보증 사고가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주금공이 부담하는 대위변제액도 늘어나고 있다.

5년여간 전세자금보증 대위변제액은 총 2조2천454억원이다.

2020년 2천386억원 수준이었던 전세자금보증 대위변제액은 지난해 6천119억원으로 156.5% 증가했다.

올해 6월까지 대위변제액은 3천747억원으로 집계됐다.

보증사고 후 대위변제한 경우 금액이 가장 큰 건은 임차보증금 3억8천만원, 보증 금액 2억7천360만원으로, 원금 연체로 인한 건이었다.

문제는 같은 기간 전세자금보증 대위변제 평균 회수율은 5.9%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올해는 6월까지 3.62%밖에 회수되지 않았다.

이양수 의원은 "전세자금보증 사고로 인한 대위변제 규모가 느는 데 비해 회수율은 매우 저조해 기금 건전성이 우려스럽다"며 "전세 사기 피해 등으로 인한 사고 증가 추세에 대응해 기금 건전성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사말 하는 이양수 의원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30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이양수 의원(왼쪽 두번째)이 인사말 하고 있다. 2025.6.30 kjhpress@yna.co.kr

원본프리뷰

trainin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월드크로스 여행사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