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작년 1인당 가계 순자산 2억5천251만원, 3.3%↑…日보다 많아
입력 2025.07.17 03:08수정 2025.07.17 03:08조회수 0댓글0

주택 4%·금융 5%↑…가계순자산 내 부동산 비중 75.4→74.6%
국민순자산 5.3% 증가…해외주식투자 호조에 순금융자산 증가폭 역대최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해 주택 가격이 오르고 예금 등 금융자산도 불어나면서 1인당 평균 가계순자산이 3% 이상 늘었다.

가계뿐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경제주체가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도 해외 증시 호조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으로 해외 투자 이익 규모가 커지면서 5% 넘게 증가했다.

◇ 한은 "구매력 고려하면 1인당 가계순자산 영국도 웃돌아"

한은과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5천251만원으로 추정됐다. 2023년 말(2억4천450만원)과 비교해 3.3% 많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3천68조원)을 추계 인구(약 5천175만명)로 나눈 값이다.

시장환율(2024년 중 1천363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5천달러로, 미국(52만1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40만1천달러)·캐나다(29만5천달러)·프랑스(23만달러)·영국(20만6천달러)보다 적지만 일본(18만달러)보다는 많았다. 2022년 처음 일본을 앞지른 뒤 3년 연속 우위를 유지했다.

구매력평가환율(2024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7만1천달러)이 일본(24만8천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3천달러)도 앞섰다. 이 기준의 우리나라 1인당 가계 순자산은 앞서 각 2019년, 2021년 일본과 영국을 추월한 뒤 역전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미국(52만1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41만5천달러)·캐나다(33만8천달러)·독일(30만8천달러)·프랑스(27만6천달러)는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독일·프랑스·영국·일본의 순자산과 환율은 2023년 말 기준으로, 직접 비교에 다소 무리가 있다.

가계·비영리단체 자산·부채 구성 등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 가계·비영리단체 순자산 중 현금·예금 19.4%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3천68조원)은 전년보다 1.8%(424조원) 불었다.

집값 상승 등으로 4.1%(264조원) 늘어난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2.2%(215조원) 증가했고, 현금·예금과 보험·연금이 각 5.1%(122조원), 8.3%(121조원) 불어나면서 금융자산도 5.1%(263조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작년 말 현재 ▲ 주택 50.9% ▲ 주택 이외 부동산 23.7% ▲ 현금·예금 19.4% ▲ 보험·연금 12.1% 순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전체 부동산의 비중은 2023년 말 75.4%에서 지난해 말 74.6%로 떨어졌다.

시도별 주택기사총액 증가율 등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 작년 주택시가총액 상승 기여도, 수도권이 91%로 압도적

모든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은 2경4천105조원으로, 전년보다 5.3%(1천217조원) 증가했다.

증가율이 2023년(1.3%)보다 높아졌지만, 작년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2천557조원) 대비 배율은 9.4배로 2023년 말(9.5배)보다 떨어졌다. 명목 GDP 증가율(6.2%)이 국민순자산 증가율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명목 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2021년(9.9배) 이후 계속 내리막을 걷고 있다.

국민순자산 가운데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년 전보다 2.6%(431조원) 많은 1경7천165조원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이 오르면서 주택시가총액(7천158조원)은 4.2% 늘었다. 3년 만의 반등이다.

하지만 권역별 증가율 기여도는 수도권(3.8%p)과 비수도권(0.4%p)에서 큰 격차를 보였다. 전체 증가율의 90.6%를 수도권이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주택시가총액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67.7%에서 68.7%로 1%포인트(p) 커졌다.

남민호 한은 국민B/S팀장은 국민순자산 증가세 확대와 관련해 "토지가격 상승 전환 등으로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늘어난 데다 해외 주식시장 호조와 환율 상승 등으로 금융자산도 급증했기 때문"이라며 "2024년 중 순금융자산 증가 폭은 582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국민순자산 증감 내역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shk99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미코아카데미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
재팬고 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