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리서치 분석…1∼5월 전체 배터리 사용량 26%↑, K-배터리 점유율은 하락

CATL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올해 들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4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169.3GWh(기가와트시)로, 작년 동기보다 26% 증가했다.
이 기간 국내 배터리 3사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합산 시장 점유율은 39.2%로 6.1%포인트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사용량이 36.5GWh로 13% 늘며 점유율 2위를 유지했고 SK온은 16.8GWh로 17.9% 증가해 3위에 올랐다.
반면 4위 삼성SDI는 13.1GWh로 8.5% 감소했다. 유럽과 북미 시장 내 주요 완성차 고객의 배터리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주로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일본 파나소닉은 12.9% 감소한 11.7GWh로 6위에 머물렀다.

[SNE리서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저가형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내세운 중국 업체들의 성장세는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도 탄탄했다.
글로벌 1위 CATL은 배터리 사용량이 50.4GWh로 전년 동기 대비 36.7% 증가, 점유율 29.8%로 선두를 유지했다.
중국 완성차 업체뿐 아니라 테슬라, BMW, 벤츠, 폭스바겐 등 여러 글로벌 업체가 CATL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비야디(BYD)는 배터리 사용량이 142.9% 급증, 5위를 기록했다. 배터리와 함께 전기차도 자체 생산하는 BYD는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CATL과 BYD를 비롯해 파라시스(7위), 고션(9위), CALB(10위) 등 중국 업체 5곳이 10위 안에 들었다.
SNE리서치는 "중국 배터리 및 완성차 업체들은 신흥국 진출, 유럽 OEM과의 협력 등 해외 시장 확대를 가속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업체들은 정책 리스크와 중국계 공급 확대에 동시에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ric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