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입장 유지·보복조치 언급 안해…"세계 경제에 큰 영향" 우려
日언론 "각국이 배신당해…극단적 조치로 '탈미국' 확산 가능성" 비판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일본에 24%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지극히 유감"이라며 지속해서 미국에 제외를 요청하는 등 끈질기게 필요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3일 밝혔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상호 관세가 일본 산업에 미칠 영향을 조속히 조사해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전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온라인 회담을 했고, 거듭해서 일본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도 "이번 조치를 비롯한 미국 정부의 광범위한 무역 제한 조치는 미일 양국의 경제 관계, 나아가 세계 경제와 다각적 무역체제 전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관세 조치에 대응해 특별 상담창구 개설과 자금 조달 지원 등을 신속히 실시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하야시 장관은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취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구체적인 검토 상황을 소상히 밝히는 것은 삼가겠다"며 언급을 피했다.
그는 자동차 안전 기준, 농산물 검역 등 비관세 장벽을 완화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이날 오전 외무성, 경제산업성, 재무성 고위 관료와 만나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고 NHK가 전했다.
일본은 미국 정부가 앞서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시행하고 자동차 관세를 예고했을 때도 유감을 표명하고 미국에 제외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일(현지시간) 세계 각국을 상대로 한 상호 관세 방침을 발표하면서 일본이 사실상 미국에 46%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판단해 24%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일본 언론 대부분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방침을 비판했다.
NHK는 "각국 정부, 금융시장 관계자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삼아 실제로 실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오늘 연설로 완전히 배신당한 모양새가 됐다"고 해설했다.
이어 "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로 자유무역 규정이 근본까지 바뀌었다고 느낀다"며 "이러한 극단적 조치로 세계 각국 사이에서 '탈미국'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 매체는 "전문가 사이에서는 일본이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가 다른 국가·지역에 비해 낮다는 견해가 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비관세 장벽 등을 포함하면 46% 관세에 해당한다고 지적한 것은 예상 밖"이라며 일본 정부가 향후 관세 46%의 근거를 상세히 분석해 미국과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사히신문은 "관세 인상은 보복 관세 등 상대의 대항 조치를 부르고 미국 내 물가 상승과 경기 악화를 야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방침을 발표하면서 밀월 관계를 유지했던 아베 신조 전 총리를 언급한 점에 주목했다.
닛케이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 요지를 정리한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전 총리와 관련해 "나는 그에게 '신조, 무역에 관해 해야 할 것이 있다. 공평하지 않다'고 했고 그는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신사적으로 바로 이해했다. 그리고 우리는 거래했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취재보조: 김지수 통신원)
psh5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