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구역도 확대…日언론 "대만침공·美대항 염두 운용능력 향상" 분석

중국 무인기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서남부 오키나와현 주변에서 항공자위대 전투기의 긴급 발진을 유발한 중국 무인기(드론) 대수가 3년 사이에 7.5배로 늘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3일 보도했다.
일본 방위성이 난세이 제도 주변에서 2024년도(2024년 4월∼2025년 3월)에 확인한 중국 무인기는 30대로, 2021년도의 4대보다 훨씬 많았다. 난세이 제도는 일본 서남쪽 규슈 가고시마현에서 오키나와현에 이르는 섬들을 지칭한다.
방위성은 2013년도에 국적 불명의 무인기 1대를 발견했다고 처음 발표했고, 2017년도와 2018년도에는 중국 무인기를 각각 1대 확인했다고 밝혔다.
방위성이 난세이 제도에서 비행을 확인한 중국 무인기는 2021년도부터 급격히 늘었다. 2021년도 4대, 2022년도 10대, 2023년도 9대로 각각 집계됐다.
요미우리는 최근 중국 무인기의 비행 횟수가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비행 지역도 확대됐다고 짚었다.
2021년도에는 중국 무인기가 주로 오키나와섬과 미야코지마 사이를 통과했으나, 2024년도에는 제주도 서부에서 규슈 서부를 거쳐 오키나와섬 북부까지 비행하거나 대만과 요나구니지마 사이를 빈번히 지났다.
특히 2024년도에 확인한 중국 무인기 30대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대가 대만과 요나구니지마 사이를 통과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대만과 요나구니지마 사이 거리는 약 110㎞다.
방위성이 지금까지 파악한 중국 무인기 종류는 6종으로, 모두 정찰 능력을 보유했고 3종은 미사일 등을 활용한 공격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는 "중국은 대만 침공을 염두에 두고 무인기 운용 능력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 자위대가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며 "반접근·지역거부(A2AD) 전략에 따라 미군에 대항할 준비를 한다는 의도도 있는 듯하다"고 해설했다.
이어 "중국 무인기 운용 능력 향상은 일본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방위성 관계자는 "대만에 대한 군사 압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며 "중국은 무인기 활동 영역을 점점 확대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방위성은 폭탄 탑재 소형 자폭 무인기를 내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도입한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전했다. 방위성은 자폭 무인기 3종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방침이다.
psh5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