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까지 김치 수출액 1억3천739만달러…2% 늘어
고물가에 수입액 3% 증가…무역적자 2천200만달러
정부 "김치, 미래 수출형 전략산업으로…세계서 확고한 브랜드로"

마트에 진열된 수입산 김치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올해 김치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동시에 김치 수입액도 1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해 무역 적자가 더 커질 수 있다.
24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김치 누적 수출 금액은 전달 기준으로 1억3천739만달러(약 1천950억원)로 작년 동기(1억3천467만달러) 대비 2% 늘었다.
김치 수입액은 1억5천946만달러(약 2천260억원)로 작년 동기(1억5천459만달러) 대비 3.1% 증가했다.
김치는 수출과 수입액이 동반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2천207만달러 적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천1만달러)보다 10.3% 확대된 수치다.
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1억6천357만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7년(8천139만달러)의 두 배에 이르는 금액이다.
코로나19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근래 K푸드가 주목받으면서 김치 수출액은 부쩍 늘었다. 2022년 1억4천812만달러에서 2023년 1억5천560만달러, 2024년 1억6천357만달러 등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도 김치 수출액이 지난해 기록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 김치의 최대 시장은 일본이다. 일본으로의 김치 수출액은 올해 10월까지 4천755만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4.4% 증가했다.
이 기간 미국 수출은 3천601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8% 감소했다. 미국은 2019년 이후 김치 수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 가운데 하나다.
유럽 시장의 관문인 네덜란드는 797만달러로 작년보다 3.3% 감소했다.
캐나다는 763만달러로 17.6% 증가했다. 호주는 668만달러로 0.9% 늘었다.
그러나 고물가가 장기화하면서 가격이 국산의 절반에 못 미치는 중국산 김치 수입 금액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는 국내 김치산업의 기반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치 수입액은 지난해 1억8천986만달러로 전년보다 16.1% 늘어 역대 가장 많았다.
올해도 김치 수입액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지난해 이상기후 여파로 가격이 고공행진 하면서 '금배추'로 불렸고 올해도 월별 평균 소매가격이 평년과 비교해 높았다.
수입 김치는 거의 100% 중국산이며 식당과 가공식품 업체에서 주로 사용한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배추 가격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데 배추 가격이 비쌀 때 외식 업체가 국산보다 싼 중국산 김치로 전환하면 다시 국산으로 안 돌아온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김치 수출 확대로 무역적자를 줄일 계획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21일 제6회 '김치의 날' 기념식에서 "정부는 김치산업이 미래 수출형 전략산업으로 도약하고 김치가 세계 식품시장에서 확고한 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y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