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초 공모서 응시자 전원 적격성 검사 탈락…도, 재공모 절차 추진

경남도청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경남도가 인공지능(AI) 산업에서 앞서나가겠다며 공직·민간 전문가를 대상으로 4급 상당 AI산업과장을 공모했으나, 몇 달째 적임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경남도는 AI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이재명 정부 방침에 맞춰 지난 7월 초 산업국에 AI산업과를 신설했다고 13일 밝혔다.
정부가 최근 'AI 3대 강국'을 목표로 경남을 제조 분야 피지컬AI 파운데이션 기술개발·실증사업 혁신거점으로 정하면서 AI산업과 역할이 더욱 커지고 중요해졌다.
개방형 직위인 AI산업과장은 AI산업 정책 수립·육성, 경남 주력산업의 AI 전환을 맡아 추진한다.
도는 AI산업과 신설과 함께 7월 4일 AI산업과장을 공모했다.
공직 또는 민간 분야에서 AI·빅데이터·소프트웨어·정보통신 분야 또는 제조업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업무를 했거나, 관련 산업정책 분야 기획·연구 경험이 있어야 응모할 수 있다.
첫 공모 때 9명이 제출서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형식요건 심사를 통과했다.
그러나 이들은 직무수행계획을 밝히는 프레젠테이션을 포함해 AI 분야 전문 능력, 리더십, 조직관리·협상 능력 등을 보는 적격성 심사에서 모두 탈락했다.
도는 결국 지난달 20일 '합격자 없음'을 공고하고, 재공고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형식요건 심사 합격자 발표(9월 30일), 적격성 심사(10월 14∼15일)를 거쳐 10월 30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하는 재공모 일정이어서 빨라도 AI산업과가 생긴 후 넉 달이 지난 11월 초에나 AI산업과장 임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최초 공모 때 적임자를 찾지 못해 임용이 늦어지고 있지만, 뛰어난 전문가가 경남 AI산업을 이끌도록 재공모 절차를 객관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AI산업과장 합격자는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과학기술서기관으로 최초 2년, 성과에 따라 최대 5년까지 근무한다.

경남도, 인공지능산업과장 개방형 직위 공모
[경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seama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