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 등 95개국서 3억4천만병 팔려…과일소주 인기 증가세

소주병
[연합뉴스TV 제공]
원본프리뷰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한국의 소주류 수출이 세계적인 '순한 술' 유행에 힘입어 연간 2억 달러를 처음 달성했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과일소주를 포함한 소주류 수출은 전년보다 3.9% 늘어난 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로 2020년(1억3천500만달러) 이후 4년 만에 1.5배로 늘어난 것이다.
올해 2월까지 수출도 작년보다 0.5% 늘어난 2천400만달러를 기록하는 등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수출은 물량 기준으로는 12만4천톤(t)으로 전년보다 4.2%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역대 최대치다.
360ml 소주병 기준으로 약 3억4천만병에 이른다. 병을 눕혀서 이으면 약 7만km로 지구 둘레를 한 바퀴 반 이상(1.8바퀴) 돌고도 남는 길이다.
품목별로는 일반소주 비중이 51.9%로 과일소주 등 혼성주(48.1%)보다 더 많았다. 다만 최근 과일소주 수출이 많이 늘고 있다는 것이 관세청의 설명이다.
국가별 수출액 비중을 보면 미국이 24.3%로 가장 많았고 중국(19.9%), 일본(19.2%)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수출국은 95개국이었다. 이 중 미국·중국 등 46개국으로의 수출이 작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일본은 과일소주, 중국은 일반소주가 주로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순한 술이 유행하면서 한국의 질 좋은 소주가 인기를 끌게 됐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한국 대중문화와 음식이 사랑을 받으면서 소주 등 음주 문화에도 관심이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도수를 낮춘 일반 소주와 과일 맛을 더한 다양한 상품을 적기에 출시한 전략도 'K-소주' 인기에 도움이 됐다는 것이 업계의 해석이다.
[표] 소주류 수출 현황 (백만달러)
소주류 | ||||||
일반소주 | 과일소주 (과일소주 등을 포함하는 혼성주) | |||||
금액 | 금액 | 금액 | ||||
증감률(%) | 증감률(%) | 증감률(%) | ||||
2011년 | 115 | △7.0 | 114 | △7.1 | 1 | △0.5 |
2012년 | 127 | 10.8 | 127 | 10.9 | 1 | △0.9 |
2013년 | 108 | △15.1 | 108 | △15.2 | 1 | 1.3 |
2014년 | 113 | 4.2 | 100 | △7.4 | 13 | 2,027.8 |
2015년 | 105 | △6.6 | 88 | △11.8 | 17 | 32.4 |
2016년 | 111 | 5.3 | 93 | 6.0 | 18 | 1.8 |
2017년 | 111 | 0.2 | 95 | 1.8 | 16 | △8.4 |
2018년 | 114 | 3.1 | 98 | 3.0 | 17 | 3.7 |
2019년 | 119 | 3.6 | 90 | △8.0 | 29 | 71.2 |
2020년 | 135 | 14.0 | 86 | △4.6 | 50 | 71.9 |
2021년 | 163 | 20.9 | 82 | △3.7 | 81 | 63.3 |
2022년 | 182 | 11.6 | 93 | 13.2 | 89 | 9.9 |
2023년 | 193 | 5.8 | 101 | 8.7 | 91 | 2.7 |
2024년 | 200 | 3.9 | 104 | 2.6 | 96 | 5.4 |
’24년 1~2월 | 24 | △28.4 | 15 | △11.9 | 9 | △44.8 |
’25년 1~2월 | 24 | 0.5 | 13 | △14.2 | 12 | 23.7 |
※ 관세청 제공
roc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