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전기난로·장판 화재 1천403건…외출할 땐 전원 꺼야
입력 2024.11.27 04:14수정 2024.11.27 04:14조회수 0댓글0
사고 절반은 '부주의' 탓…전기난로 주변에 종이·옷 두면 안 돼

전기장판으로 겨울나는 노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최근 3년간 전기난로와 전기장판 화재 사고가 1천400여건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기난로와 전기장판으로 총 1천40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들 화재로 21명이 사망하고 142명이 다쳤다.
관련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 달은 12월(290건)이었다. 이어 1월(284건), 2월(223건), 11월(172건) 순이었다.
사고 원인은 '부주의'(전기난로 57%·전기장판 44%)가 가장 많았다.
부주의 사고 가운데 전기난로 사고의 49%는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물질을 가까이 둬서, 전기장판 사고의 83%는 기기를 부주의하게 사용했기 때문으로 집계됐다.
행안부에 따르면 관련 사고를 막기 위해 제품 사용 시 이상 유무를 살피고, 플러그와 전선이 헐거워지거나 벗겨진 곳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 외출로 장시간 자리를 비울 때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꺼야 한다.
전기난로 주위에는 종이나 옷처럼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는 게 좋다.
전기장판은 바닥 면이 접히거나 무거운 물체에 눌리지 않게 조심하고, 이불을 겹겹이 덮은 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황기연 행안부 예방정책국장은 "전기난로와 전기장판을 사용할 때 주의를 기울이고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근 3년간 전기난로·장판 화재 발생 원인
[행정안전부 제공]
원본프리뷰
shlamazel@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머스크, xAI 직원들에게 '4주간의 성과 제출하라' 지시"
2025.09.18 02:10
AI가 수요예측·재고관리…아마존, 판매자용 AI 에이전트 공개
2025.09.18 02:10
10대 성착취물 100개 만든 텔레방 '단장'…검찰, 징역 30년 구형
2025.09.18 02:08
세계자연유산 신안 앞바다 해양쓰레기 '몸살'…"국가 망신"
2025.09.17 04:00
"日,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보류할 듯…美관계 등 고려"
2025.09.17 04:00
대만, 미국발 관세 충격에 무급휴가 급증세…보름 만에 2배로
2025.09.17 03:59
피겨 김현겸, 올림픽 추가 예선전 출전…북한·러시아도 참가
2025.09.17 03:59
환전한 게임머니로 온라인 스포츠 베팅게임…대법 "도박행위"
2025.09.17 03:59
119구급대, 작년 하루 평균 9천번 출동…심정지 회복률↑
2025.09.17 03:58
인권위 "계엄투입 장병 52% 심적부담 경험…인사불이익 없어야"
2025.09.17 03:58
연말 출고차도 동일 보상…배달 종사자 하루짜리 보험 생긴다
2025.09.17 03:57
재난·안전 공무원 수당 두 배로 늘린다…적극대응 땐 징계 면제
2025.09.17 03:57
청년층, 취업·진학위해 수도권으로…중장년층은 자연 찾아 떠나
2025.09.17 03:56
상반기 지식서비스 적자 45억달러…해외 게임·OTT·앱 구독↑
2025.09.17 03:56
'간판 비리' 익산시 사무관…골프접대 등 뇌물수수 일부 인정
2025.09.17 0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