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원 등서 서리·얼음 관측…가을까지 더웠던 작년보다 일러
낮 최고 11∼18도…내일 아침까지 춥고 낮부터 평년기온 되찾아

올가을 첫서리·첫얼음 관측
28일 서울 종로구 송월동 서울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된 올가을 첫서리(왼쪽)와 첫얼음(오른쪽).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28일 아침 중부내륙은 0도 안팎까지 기온이 떨어지는 등 매우 추웠다. 서울 등 곳곳에 올가을 처음 서리가 내리고 얼음이 얼기도 했다.
강원 설악산의 경우 기온은 이날 0시 33분께 기온이 영하 7.8도까지, 체감온도는 비슷한 시각 영하 15.2도까지 하락했다.
오전 7시 기준 주요 기상 관측지점 일 최저기온을 보면 강원 양구 영하 3.7도, 경북 봉화 영하 3.6도, 경기 파주 영하 3.1도, 강원 춘천 영하 2.6도, 충북 제천 영하 2.2도 등 중부내륙과 경북을 중심으로 기온이 영하까지 떨어졌다.
서울은 3.1도, 인천은 3.7도, 대전과 대구는 3.4도, 광주는 6.5도, 울산과 부산은 4.7도와 7.7도까지 기온이 내려갔다. 모두 예년 이맘때 최저기온보다 2∼4도 낮은 수준이다.
낮은 기온에 서울·인천·수원·대전·청주·북춘천·북강릉·안동 등에선 올가을 첫서리, 서울·수원·북춘천·북강릉·안동에서는 첫얼음이 관측됐다. 얼음 관측은 기상관측소 내 설치된 지름 20㎝, 깊이 10㎝의 소형증발계에 담긴 물이 어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올가을 첫서리와 첫얼음은 가을까지 더웠던 작년보다 이르게 찾아왔다.
서울의 경우 첫서리는 작년보다 9일 이르고 평년과는 같은 때고, 첫얼음은 작년보다 10일 이르고 평년보다도 6일 이르게 관측됐다.
이날 아침이 추웠던 이유는 앞서 우리나라 북쪽 절리저기압과 산둥반도 부근까지 확장한 대륙고기압 때문에 북쪽에서 찬 공기가 유입된 상황에서, 대륙고기압에서 분리돼 찬 성질을 잃은 채 서해상에서 동진하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밤사이 날이 맑았기 때문이다.
간밤 하늘에 구름이 없다 보니 복사냉각이 활발히 이뤄졌고, 이에 기온이 크게 떨어졌다.
복사냉각은 '열복사에 의해 물체가 열을 잃는 과정'으로 지구가 낮 동안 태양에서 받은 에너지를 밤사이 방출하면서 지표면과 대기가 식는 현상이 대표적인 복사냉각 현상이다.
만약 하늘에 구름이 있었다면 지표면이 내뿜은 에너지가 대기권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마치 이불처럼 막아 다시 지표면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이날 낮 최고기온은 11∼18도로 예상된다.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 기온 차가 15도 안팎에 이를 정도로 기온 오름폭은 크겠다.
기온 오름폭이 큰 이유는 하늘에 햇빛을 가리는 구름이 없어 일사량이 많기 때문이다.
다만 아침 기온이 워낙 낮았던 터라 낮에도 따뜻하지는 않겠다.
특히 영남을 중심으로는 순간풍속 시속 55㎞(산지는 70㎞) 안팎의 강풍이 불면서 추위를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추위는 수요일인 29일 낮부터 풀릴 전망이다.
29일 아침 최저기온은 1∼9도, 낮 최고기온은 15∼20도로 낮 기온부터 평년기온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바다 곳곳에 거센 풍랑이 이어지겠다.
동해중부안쪽먼바다·동해남부북쪽안쪽먼바다·동해남부남쪽먼바다에는 이날 오전, 동해중부바깥먼바다와 동해남부북쪽바깥먼바다에 밤까지 바람이 시속 30∼60㎞(8∼16㎧)로 강하게 불고 물결이 1.0∼3.5m 높이로 높게 일겠다.
jylee24@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