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이후에는 '단타' 영국인 순매수 눈길…미국 순매수 강도는 약화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 후 3,310대 마감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10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한 시민이 대형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코스피는 이날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3,310대 초반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전장보다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으로 장을 종료했다. 2025.9.10 jjaeck9@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대망의 코스피 4,000 시대를 열어젖힌 주역으로 꼽히는 외국인 투자자 중 가장 상승 기여도가 높았던 건 미국과 아일랜드 투자자들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외국인 투자자 매매동향 자료를 보면 코스피 '불장'이 본격화한 6월 초에서 9월 말 사이 국내 상장주식 순매수 규모가 가장 컸던 외국인은 미국 투자자들로 8조2천28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 순매수 2위인 아일랜드 투자자들은 4조2천90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아일랜드 투자자들은 1∼5월까지는 월평균 1천400억원을 순매수하는 데 그쳤으나, 6∼9월에는 월평균 1조원대로 순매수 규모가 커졌다.
이밖에 룩셈부르크(1조6천750억원), 독일(1조600억원), 중국(2천810억원) 등도 국내 증시에서 같은 기간 적지 않은 금액을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장기투자금이 많은 미국과 달리 단기투자 성격이 강한 영국 투자자들은 1∼8월 11조8천910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을 실현하다가 9월에는 한 달간 2조1천910억원을 순매수하며 '사자'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였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서도 27일 현재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5조8천898억원을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기관은 2조7천71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8조8천564억원을 순매도했다.
최근 눈에 띄는 동향은 그간 코스피 상승을 견인해 온 미국 투자자들의 순매수 강도가 약해진 대신 영국계 자금의 유입이 커지는 듯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거래소가 별개로 집계한 외국인 국적별 순매수 동향 자료에 따르면 10월 1∼24일 사이 한국 상장사 주식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외국인은 영국 투자자(3조960억원)들이었다.
이어서는 노르웨이(5천850억원), 아일랜드(3천290억원), 독일(2천50억원), 미국(1천580억원), 프랑스(1천440억원), 영국령 버진아일랜드(1천410억원), 케이맨제도(1천170억원), 대만(1천110억원), 호주(970억원) 순이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의 외국인 매매 동향 집계 방식이 서로 다른 까닭에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이달 들어 영국을 비롯한 유럽계 투자자들이 다른 외국인보다 한국 주식을 더 많이 사모으는 양상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전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101.24포인트(2.57%) 오른 4,042.83으로 장을 마감해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했다.
지난 5월 말 2,697.67 수준이었던 코스피는 지난달 말 3,424.60까지 올라섰고, 10월 들어서는 100포인트 단위로 무려 여섯 차례나 신기록 행진을 이어오는 기염을 토했다.
hwangc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