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종합재가센터, 2022년 36곳→올해 19곳

요양보호사
[연합뉴스TV 제공]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요양보호사를 파견해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을 돕는 종합재가센터가 최근 3년 사이 절반 가까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앙사회서비스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종합재가센터는 2022년 36곳에서 올해 19곳으로 47.2% 급감했다.
종합재가센터는 공공 돌봄의 거점 기관으로, 요양보호사나 사회복지사 등 전문 인력이 노인·장애인·아동 등 돌봄이 필요한 주민에게 방문 요양·목욕, 가사·활동 지원, 주야간 보호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합재가센터 근무 인력도 전국 기준 2023년 546명에서 올해 9월 현재 502명으로 8.1% 줄었다.
대구에서는 종합재가센터를 더는 운영하지 않음으로써 올해 현재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 건수가 모두 '0'이 됐다.
서비스 제공 건수 감소율은 대구에 이어 경남(-94.1%), 광주(-42.7%) 순으로 높았다. 이 두 지역은 이용자 수 감소율도 각각 91.5%, 77.9%로 대구의 뒤를 이었다.
반대로 경기와 전북은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 실적이 눈에 띄게 늘었다.
경기의 경우 이용자 수(739명→4만2천288명)와 제공 건수(7천959건→17만5천295건)가 각각 57배, 22배로 급증했다.
전북에서도 이용자 수(1천368명→1만8천10명)와 제공 건수(2천397건→7만3천679건)는 각각 13배, 31배로 늘었다.
다만 경기에서는 같은 기간 근무 인력이 28명에서 20명으로 줄어 업무 부담이 커졌다.
서영석 의원은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센터의 문을 닫거나 서비스를 축소하는 것은 국가의 돌봄 책임을 민간에 떠넘기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중앙사회서비스원 홈페이지 갈무리]
원본프리뷰
so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