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영유아 수술 후 손목 요골동맥 폐색 합병증 예방법 찾았다
입력 2025.10.27 12:59수정 2025.10.27 12:59조회수 0댓글0

서울대병원, 니트로글리세린 투여로 폐색 발생률 3분의 1로 줄여


영유아 요골동맥 폐색 검사법

(서울=연합뉴스) 영유아 요골동맥 폐색 검사법. 2025.10.27. [서울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손목의 바깥쪽에 있는 요골동맥은 수술 중 혈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맥관이 주로 삽입되는 혈관이다.

그러나 영유아 환자의 60% 이상은 수술 후 이 혈관의 혈류가 막히는 요골동맥 폐색을 경험하는데, 국내 연구진이 이를 3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요골동맥 폐색은 신체의 끝부분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는 말초 허혈,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피부 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그동안에는 명확한 예방법이 없었다.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장영은·박정빈 교수팀은 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을 이용해 영유아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부터 최근까지 이 병원에서 전신마취 하에 수술받은 3세 미만 환자 132명을 처치군(67명)과 대조군(65명)으로 무작위 배정한 뒤, 동맥관 삽입·제거 시 니트로글리세린 희석액과 식염수를 각각 피하 주사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처치군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은 25.4%로, 대조군(73.8%)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처치군에서 저혈압, 국소 부위 출혈 등 혈관확장제의 주요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서울=연합뉴스) 니트로글리세린 처치군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은 25.4%로, 대조군(73.8%)의 3분의 1 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함. 2025.10.27. [서울대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또한 동맥관 제거 후 처치군은 대조군보다 요골동맥 혈류 속도가 평균 1.8배였고, 말초 혈관의 혈액순환 정도를 뜻하는 관류지수도 평균 2.1배 수준이었다.

니트로글리세린이 동맥관을 제거한 후에도 정상 혈류 유지를 돕고, 영유아 환자의 혈관을 보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동맥관 제거 후 요골동맥 폐색이 발생하더라도 니트로글리세린을 사용했을 때 빠르게 혈류를 회복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처치군에서 요골동맥 폐색이 발생한 환자 17명 중 14명(82.4%)이 퇴원 전 혈류를 회복한 반면, 대조군은 48명 중 20명(41.7%)이 회복하는 데 그쳤다.

장영은 교수는 "소아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요골동맥 폐색을 예방할 방법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며 "심장, 뇌 등 복잡한 선천성 질환으로 여러 차례 고위험 수술과 중환자실 치료를 받는 아이들이 이 결과를 토대로 혈관 손상 위험을 줄이고,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사협회 저널 'JAMA 소아과학'(JAMA Pediatrics)에 실렸다.

jand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