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경쟁 우위 가능성…中제재는 한국향 발주 위축시킬 수도"

마스가(MASGA) 모자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미국의 조선업 재건이 본격화하면 한국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되지만,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 조선업이 미국과의 협력 관계를 토대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있고, 한국이 미중 간 해양 패권 다툼에서 유탄을 맞을 우려도 제기된다. 대미 조선업 투자는 현지 생산성 관리가 변수로 꼽힌다.
26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조선산업 점검에 따르면 미국의 상선·함정 발주가 본격적으로 전개될 경우 국내 조선사들은 상당한 수주 물량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이 건설 예정인 대규모 액화 터미널이 완공되면 액화천연가스(LNG) 수출량은 2024년 대비 약 11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LNG 운반선 시장점유율 1위인 국내 조선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략적 상선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이 미국 의회를 통과한다면 탱커, 컨테이너선 등 다른 선종의 수주도 확대될 수 있다.
함정 분야의 경우 미국은 2054년까지 총 364척의 함정을 확보할 예정으로 연평균 401억달러의 예산이 투입되고 누적 1조달러 넘게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는 해외 조선소의 미국 함정 건조가 사실상 금지돼있지만, 지난 2월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이 발의되면서 동맹국의 시장 진입 가능성이 생겼다.
특히 소형 수상전투함(80척)과 군수지원함(71척)은 군사적 민감도와 기술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고 한국의 건조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법안 시행 시 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정부, 미국에 'MASGA' 프로젝트 제안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하지만 국내 조선업계의 미국 선박 시장 진출이 순탄치만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먼저 일본이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토대로 한국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조선 경쟁력만 보면 한국이 앞서지만, 국제관계와 정치적인 논리에서 힘을 다소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1960년 상호협력 및 안전보장조약 체결 이후 지속된 미일 안보 협력과 방산 공동개발 경험 등 오랜 기간 우호적으로 유지 중인 미일 관계를 고려할 때 향후 일본이 한국과의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미중 간 해양 패권 경쟁이 중국의 대(對)한국 제재로 확대될 경우 국내 조선업의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한화그룹 조선·해운 계열사의 미국법인 5곳에 제재를 내린 바 있다. 미국 정부에 협조해 중국의 이익을 훼손했다는 이유에서였다.
보고서는 "중국이 국내 조선사들의 미국 진출 및 미 해군·조선소와 협력 강화 기조를 견제하기 위해 제재 범위를 한국 조선사로 확장할 경우 중국 기항 비중이 높은 선주사들의 한국향 발주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면서 "국내 조선사의 중국산 기초 기자재 조달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래픽] 세계 민간 선박 건조량 비중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중국과의 전략경쟁에서 위기감을 느끼는 미국의 조선 능력과 관련, 한국과의 조선분야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집계에 따르면 2024년에 미국은 세계 민간 선박 건조량의 0.1%를 차지했다.
minfo@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국내 조선사의 대미 투자는 노후화한 현지 인프라, 높은 인건비, 부족한 숙련 인력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미국 해양 엔지니어의 평균 연봉은 약 1억4천500만원으로 한국의 1.7배 수준이고 용접공 임금은 약 9천만원으로 한국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납기 준수를 위한 연장·휴일 근무가 빈번하고 이에 대한 수용도가 높지만, 미국은 잔업과 특근에 대한 거부감도 큰 편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국내 조선사의 미국 현지 진출 성패는 인건비, 인력, 근로문화 차이를 극복해 생산성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며 "현지 인력 양성과 공정관리 체계 구축 역량이 장기 경쟁력의 관건이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bing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