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누드사진 생성' AI 도구에 피해 잇달아…美 10대 여학생 소송
입력 2025.10.18 03:49수정 2025.10.18 03:49조회수 0댓글0

미 고교 남학생이 가짜 나체사진 채팅방 공유…피해자 "확산 두려워"


텔레그램 로고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나체(누드) 사진 생성 도구로 인해 실제 피해 사례가 잇따르며 사회적인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미국 뉴저지주의 10대 소녀가 AI 이미지 생성 소프트웨어 '클로드오프'(ClothOff) 개발사인 'AI/로보틱스 벤처 스트래티지 3'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이 소송의 원고인 17세 여학생은 메신저 앱 텔레그램이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클로드오프에 접근할 수 있게 했다는 이유로 텔레그램 역시 명목상 피고로 추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여학생은 14세 때 수영복을 입고 찍은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렸는데, 고등학교 동급생인 남학생이 이 사진을 이용해 가짜 나체 사진을 만들었으며 그 도구로 클로드오프를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또 같은 반의 일부 남학생들은 이처럼 AI 도구로 생성한 여러 여학생의 가짜 나체 사진을 단체 채팅방에 올려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송을 제기한 소녀는 자신의 딥페이크 사진이 인터넷에 유포될까 봐 "끊임없는 두려움" 속에 살고 있으며, 자신과 다른 여학생들의 사진이 클로드오프의 AI 훈련에도 이용될까 봐 걱정된다고 밝혔다.

원고 측은 클로드오프 운영사가 당사자의 동의 없이 보유한 모든 누드 이미지를 삭제·파기하고, 해당 이미지를 AI 모델 훈련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명령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이 여학생을 대신해 소송을 진행 중인 예일대 로스쿨 교수와 학생들은 클로드오프 운영 업체의 소재지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이며, 실제 운영자들은 벨라루스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원고 측은 이들이 법정에 출석하지 않거나 소송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법원이 미국 내 소프트웨어 사용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SJ은 다크웹(불법 웹사이트)에서 이용자들이 클로드오프 링크를 유포하며 이를 아동 포르노 제작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시 검사장인 데이비드 치우는 지난해 클로드오프를 포함한 주요 딥페이크-누드 사이트 16곳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이 가운데 10여개의 폐쇄를 끌어냈다.

치우 검사장은 클로드오프를 상대로 한 소송은 계속 진행 중이라면서 "모든 운영자가 책임을 질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min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