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노역 관련 역사·유물, 기록유산 검토…공동 대응 방안 강구"

국감 답변하는 허민 국가유산청장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국가유산청 등에 대한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6 seephoto@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이었던 일본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등 과거사 문제가 내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논의될지 주목된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군함도와 사도광산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묻는 질의에 "1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 참석해 내년 위원회에서 의제로 채택해 달라고 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군함도는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 중 하나다.
일본 정부는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 동원에 관해 설명하겠다고 공식 약속했으나, 2020년 유산 현장이 아닌 도쿄에 전시 공간을 마련했고 관련 내용도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비판받았다.
한국은 올해 7월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의 근대산업유산 등재 후속 조치 문제를 정식 의제로 다룰지를 놓고 일본과 초유의 투표전까지 벌였지만 무산됐다.

해상에서 바라본 군함도
(서울=연합뉴스)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 인근 해상의 유람선에서 보이는 군함도. 2025.7.7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원본프리뷰
또 다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은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유산 대상 시기를 에도(江戶) 시대로 한정하는 등 역사를 외면하려 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지난달 열린 추도식은 일본 측 인사만 참가해 사실상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허 청장은 "당시 강제 노역 (경험)을 했던 다른 아시아 국가와 연합체 혹은 협의체를 구성해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며 "공동 대응하는 방법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 있는 (강제 노역 관련) 역사, 유물을 철저히 살펴 그 자체로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만들어 항의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 청장은 내년 7월 부산에서 세계유산위원회가 열리는 점을 언급하며 "의제로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며 "(대응 방안을) 다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7일(현지시간) 일본이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했는지 유네스코에서 따지려던 정부의 시도가 무위로 돌아갔다.
yoon2@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ye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