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청주, 1957년 모던아트협회 작가 11명 156점 전시
"참여 작가 문제의식, 단색화·민중미술 등으로 확산"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조우, 모던아트협회 1957-1960' 전시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청주=연합뉴스) 박의래 기자 = 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던 1956년 한국 미술계는 이른바 '국전 분규 사태'를 겪으며 큰 혼란에 빠졌다. 제5회 국전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주관 전시에 참여한 원로 작가들이 다수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일본 아카데믹 리얼리즘 계열의 화풍을 정통으로 여기며 새로운 표현을 시도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그러자 젊은 작가들은 전후의 현실과 시대정신을 반영해야 한다며 반(反)국전 운동에 나서는 등 기존 제도권 미술과 충돌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유학파 출신인 박고석, 유영국, 이규상, 한묵, 황염수 등이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출발을 선언하며 '모던아트협회'를 결성했다. 이들은 '현대회화의 문제'를 공통의 기조로 삼고 국전의 사실주의와 앵포르멜(비정형)의 급진성을 넘어서는 '제3의 길'을 모색했다.

제1회 모던아트협회 전시 팸플릿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모던아트협회는 1957년 동화화랑에서 제1회 전시회를 열었으며 임완규, 정규, 정점식, 천경자 등 더 많은 작가가 합류해 1960년까지 4년 동안 여섯 차례 전시를 이어갔다.
이들은 생활과 자연, 일상의 풍경을 추상적 언어로 전환하는 실험을 이어갔으며, 추상을 단순한 양식이 아니라 삶과 정신, 현실과 사유를 통합하는 태도로 이해했다. 또한 개별 작가의 실험을 존중하고 연대했다.

황염수 1950년대 작품 '나무'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에서 열리고 있는 '조우, 모던아트협회 1957-1960'전은 협회에 참여한 작가 11명의 작품 156점과 아카이브 30점을 선보인다. 전쟁 직후의 궁핍한 현실과 재건의 긴장 속에서 1세대 모더니스트들의 노력을 조명한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는 작가들이 모던아트협회를 결성하기 전의 작업을, 2부는 협회 활동 시기의 작품을, 3부는 해산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의 개별 작업과 활동 아카이브를 다룬다.
전시에는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작품도 다수 포함됐다. 황염수의 1950년대 작품 '나무'와 김경의 1960년 작 '조우', 박고석의 1961년 작 '소', 유영국의 1966년 작 '새벽', 한묵의 1965년 작 '무제' 등이다.
황염수의 '나무'는 붉은 배경 위에 남색의 줄기와 잎이 얽혀 있고, 그 사이사이로 검은색 농담이 스며든다. 줄기와 잎의 경계가 모호한 화면 구성으로 추상적 요소가 두드러지며, 검은색 농담이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김경의 1960년 작 '조우'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전시 제목과 같은 김경의 '조우'는 형태보다는 질감(마티에르)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거친 질감을 강조하기 위해 짙은 색을 밑에 깔고 밝은색을 덧칠한 뒤 긁어내는 '그라타주'(grattage) 기법을 사용했다. 그의 마티에르 표현이 원숙해지기 전 과도기적 성격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토속적 소재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추상으로 나아가려는 실험적 태도가 엿보인다.
전시를 기획한 이효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모던아트협회로 활동한 기간이 워낙 짧고 많은 작가들이 이후 화풍이 크게 달라지면서 이 시기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았다"며 "하지만 이들이 남긴 문제의식은 이후 단색화, 민중미술 등으로 확산하며 한국 현대미술의 또 다른 출발점이 된 만큼 연구하고 재조명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문신 1957년 작 '소'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1950년대 이후 참여 작가들의 작업과 활동, 인공지능(AI) 기술로 전시를 생동감 있게 재현한 김시헌 작가의 영상작품 '전위의 온기', 작가들의 삶과 교유, 현대미술에 관한 생각을 담은 수필과 비평도 함께 전시돼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미술관 2층 '보이는 수장고'에는 1970년대 이후 '장미의 화가'로 불린 황염수의 장미 연작과 꽃 그림 등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전시는 내년 3월 8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조우, 모던아트협회 1957-1960' 전시 전경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laecorp@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