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국내체류 동포들 "주거·고용 불안하나 한국 국적 취득 희망"
입력 2025.10.18 02:00수정 2025.10.18 02:00조회수 1댓글0

재외동포청, 중국 동포·고려인 등 체류동포 지원 위한 실태조사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국내동포 전담 조직 신설 등 추진하기로


동포청, 국내 체류 동포 실태조사 결과 발표

[동포청 제공]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86만여명에 이르는 국내 체류 동포들의 대부분은 임대 주택에 거주하며 고용 불안을 느끼는 등 국내 정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재외동포청(청장 김경협)은 국내 거주 동포들의 현황을 파악한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1천1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심층 면접과 문헌을 통한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 재외동포(F-4) 비자 자격으로 국내에 머물고 있으며 이 가운데 중국 동포가 77%를 차지하고 있으나 감소 추세고, 다음으로 고려인은 12%지만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이상 거주자가 60%에 달하며 주거 형태는 자가가 아닌 임대 중심으로 임대료 인상이나 재계약 거부 및 보증금 미반환 등의 불안을 겪고 있었다.

출신국 사람이라는 인식(38%)이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인식(29%)보다 높아 이중정체성이 공존하고 있으며 68%가 한국 국적 취득 계획을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30%가 한국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어 정신적 '소진' 또는 '번아웃'을 경험했고, 50%는 초중고생 자녀를 두고 있으나 학습지도 및 교육비·교육 정보 획득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50대 이상의 응답자 중 82%가 '중병 대비 경제적 여력이 부족'하다고 답변했고, 고용(24%), 소득(21%), 주거(17%), 보건·의료(16%) 순으로 정부의 지원을 희망했다.

동포청은 실태조사를 반영해 ▲ 동포 집단 내부의 복합적 이질성에 맞춘 세분된 접근 ▲ 차별에 대한 해소 및 인식 개선 ▲ 사회적 안전망 편입을 위한 정보 접근성·전달 체계·관계 부처 연계 강화 ▲ 동포청 내 국내동포 전담 조직 설치 ▲ 동포데이터센터 등을 통한 통계 기반 정책 시스템 구축 등의 정책을 제언해 추진하기로 했다.

동포청은 지속적인 패널조사와 함께 연령·직군 등으로 세분화한 조사도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 조사는 한양대 에리카산학협력단 및 한국갤럽과 공동으로 실시했으며 독일, 이스라엘, 아일랜드, 중국, 일본의 동포정책도 참고했다.

조사 내용은 동포청 누리집의 상단 '정책·정보' 탭에서 결과보고서를 열람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wakaru@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