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美 커크 암살 파장 어디까지…진영갈등심화에 표현자유 논란까지
입력 2025.09.18 02:28수정 2025.09.18 02:28조회수 0댓글0

美 커크 암살 파장 어디까지…진영갈등심화에 표현자유 논란까지


우파 진영, '反커크' 발언 단속·응징 예고하며 좌파 진영 정조준
NYT "반대세력 침묵 정당화시켜"…하원, 온라인플랫폼 CEO 출석 요구


故 찰리 커크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워싱턴=연합뉴스) 이유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정치적 우군이자 우파 활동가였던 고(故) 찰리 커크가 암살된 이후 미국 사회에서 진영 갈등이 한층 깊어지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 주요 공직자들은 암살 용의자를 '좌파'로 규정하고 커크의 죽음과 관련한 정치적 반대 목소리에 대해 전방위적 단속·응징을 예고했다.

이에 미국 수정헌법 1조가 보장한 '표현의 자유'까지 제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J.D. 밴스 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시카고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커크는 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암살범은 단지 자신이 생각하기에 잘못되고, 해서는 안 되는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그를 총으로 쏘아 죽였다"고 말했다.

앞서 암살 용의자인 타일러 로빈슨은 범행 동기와 관련, "난 그의 증오(hatred)에 질렸다. 어떤 증오는 대화로는 해결이 안 된다"고 자신의 룸메이트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좌우 진영 간 '문화전쟁'에서 동성애·낙태 반대, 총기 찬성 등 강경 우파의 입장을 대변해 온 커크에 대한 반감이 범행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은 커크 암살 배경 중 하나로 좌파 이념을 지목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커크 암살 용의자에 대해 "그는 인터넷을 통해 좌파 쪽으로 급진화가 된 것 같다. 좌파 진영에는 많은 문제가 있고, 그들은 보호받고 있는데, 보호받아선 안 된다"고 말했다.

밴스 부통령도 같은 날 고인이 생전에 맡았던 팟캐스트 쇼 진행자로 대신 나선 자리에서 "좌파 극단주의"가 커크의 암살 배경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공화당 진영의 주요 인사들은 트럼프 재집권의 일등 공신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커크에 대해 대대적인 추모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고인이 된 커크를 비난하는 목소리를 강력하게 규탄하고, 상응하는 조치까지 경고하고 나섰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15일 엑스(X·옛 트위터)에서 "미국은 우리 동료 시민의 죽음을 축하하는 외국인들을 맞이하지 않을 것"이라며 커크 암살과 관련해 문제 발언을 하는 외국인들의 비자를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팸 본디 법무장관도 전날 엑스에 "선을 넘어 폭력 위협으로 향하는 증오 표현(Hate Speech)은 수정헌법 1조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며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급진 좌파가 위협을 일상화하고 암살과 정치적 폭력을 부추기는 것을 목도해왔다. 그런 시대는 끝났다"고 적었다.

이런 분위기의 영향을 받아 정부는 물론 공공기업, 민간 기업들에서 커크 암살과 관련해 부적절한 발언을 한 직원들에 대한 해고 및 징계 조치가 잇따르고 있다.

ABC 방송은 이날 자사 토크쇼 '지미 키멀 라이브'의 진행자 키멀이 커크의 죽음과 관련해 했던 발언을 문제 삼아 해당 쇼를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

키멀은 전날 방송에서 "마가(MAGA) 진영(트럼프 핵심 지지층)은 커크를 살해한 이 아이를 자신들과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규정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고, 이번 사안에서 정치적 점수를 따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걸 다 하고 있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앞서 MSNBC 정치평론가 매슈 다우드도 커크 관련 발언 논란으로 MSNBC 방송에서 하차했으며,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민간 기업도 문제 발언을 한 직원들을 업무에서 제외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시청률로 고전하던 지미 키멀 쇼가 취소됐다"며 "마침내 해야 할 일을 용기 있게 해낸 ABC 방송에 축하를 보낸다"고 적었다.

사회적 갈등 분위기가 고조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전날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비영리 싱크탱크인 제퍼슨교육학회가 주최한 행사에 참석, 지금 미국은 "변곡점"에 놓여 있다면서 커크 암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국민을 하나로 모으기보단 분열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성소수자나 무슬림 등에 대해 증오 표현을 노골적으로 하며 '표현의 자유'를 옹호해 온 우파 진영이 커크 암살을 계기로 좌파 진영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이 진보 진영을 표적으로 삼아 발언을 감시하고 비자를 취소하고 특정 단체들을 국내 테러단체로 지정하는 광범위한 계획을 내놨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커크의 피살 사건을 반대 세력을 침묵시키는 조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하원 감독위원회는 디스코드·스팀·트위치·레딧 등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4곳의 최고경영자(CEO)들에게 다음 달 8일 열리는 커크 암살 관련 청문회에 참석할 것을 요구했다.

공화당 소속인 제임스 카머 하원 감독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비극 이후 정치적 동기에 의한 다른 폭력행위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회는 급진주의자들이 정치 폭력을 조장하기 위해 이용해 온 온라인 플랫폼들을 감시할 책무가 있다"고 말했다.

yum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월드크로스 여행사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