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하반기 0.6% 성장하면 연 0.9% 가능…향후 내수회복·수출둔화"(종합)
입력 2025.09.03 01:12수정 2025.09.03 01:12조회수 0댓글0

한은 발표 2분기 성장률 0.7%, 속보치보다 0.1%p↑…소비·수출이 견인
민간소비 0.5%↑·정부소비 1.2%↑…내수 0.4%p·순수출 0.3%p 기여
연속 역성장 피했지만 투자 부진 지속…건설 1.2%↓·설비 2.1%↓


2분기 성장률 0.7%, 속보치보다 0.1%p↑…소비·수출이 견인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28일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5.5.28 ksm7976@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소비 회복과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1분기보다 0.7% 성장했다.

전체 성장률은 한 분기 만에 반등했지만, 건설·설비투자는 1분기에 이어 역(-)성장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7%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지난 7월 24일 공개된 속보치(0.6%)보다 0.1%포인트(p) 올랐다.

앞서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깜짝 성장'(1.2%) 이후 곧바로 2분기에 -0.2%로 떨어졌고, 이후 3분기(0.1%)와 4분기(0.1%) 정체됐다가 올해 1분기(-0.2%) 다시 뒷걸음쳤다.

실질 국내총생산 부문별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 소비가 승용차·의료 등을 중심으로 0.5% 늘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위주로 1.2%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제품 등의 호조로 4.5% 불었다. 수입도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4.2% 늘었지만, 증가율이 수출보다 낮았다.

하지만 건설투자는 토목 건설 부진 등으로 1.2% 줄었고, 설비투자도 선박·반도체제조용기계 등 위주로 2.1% 감소했다. 투자 가운데 지식재산생산물투자만 연구·개발(R&D)을 중심으로 0.8% 성장했다.

속보치와 비교해 건설투자(+0.4%p)와 수출(+0.4%p), 지식재산생산물투자(+1.1%p) 성장률이 상향 조정됐다. 반대로 설비투자(-0.6%p)는 더 낮아졌다.

김화용 한은 국민소득부장은 "(속보치 이후) 정부의 재정집행 실적이 추가로 반영됐는데, 정부의 R&D 투자 쪽 집행이 늘어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성장률 잠정치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2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이 각 0.4%p, 0.3%p로 집계됐다. 그만큼 성장률을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특히 내수 기여도가 1분기(-0.5%p)와 비교해 큰 폭으로 개선됐다.

내수를 다시 나누면 민간 소비와 정부 소비의 기여도가 각 0.2%p로 성장을 주도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0.1%p)도 성장률 반등에 도움이 됐다. 반대로 건설투자(-0.1%p)와 설비투자(-0.2%p)는 성장률을 깎아내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전자·광학기기·운송장비 위주로 2.5% 성장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업·운수업 등의 회복으로 0.8% 늘었다. 1분기 각 -0.6%, -0.2% 역성장 이후 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건설업은 건물·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3.6% 급감했고, 전기·가스·수도업도 전기업을 중심으로 5.4% 역성장했다. 농림어업도 농축산업과 관련 서비스업, 어업 등이 모두 부진해 1.2% 뒷걸음쳤다.

김 부장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0.9%) 달성 가능성과 관련해 "연간으로 0.9% 성장하려면 하반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로 0.6% 수준이어야 한다"며 "전기비 0.7% 이상이면 1% 성장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앞으로 내수는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집행,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수출의 경우 7∼8월 양호한 흐름을 보였지만 미국 관세 부과의 영향이 커지면서 점차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철강·알루미늄 관세 적용 품목 확대 등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활동별 실질 국내총생산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직전 분기보다 2.0% 증가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14조1천억원)이 1분기와 비슷해 명목 GDP 성장률(2.0%)과 같았다.

실질 GNI도 1.0% 늘었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13조원에서 10조2천억원으로 줄었지만,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이 13조원에서 8조6천억원으로 축소되면서 성장률이 실질 GDP(0.7%)를 웃돌았다.

분배 관련 국민소득지표로서 처음 분기 기준으로 공개된 피용자보수, 총영업잉여는 1분기보다 각 0.8%, 4.0% 늘었다. 1분기 역성장(-0.1%·-2.3%)에서 반등했다.

김 부장은 "피용자보수 증가는 전분기보다 정부 부문 보건의료산업 취업자 등이 늘어난 데다 소득도 소폭 개선됐기 때문"이라며 "총영업잉여도 운송장비 제조업, 도소매 등을 중심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shk99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여행나무
노 카스하라   (Noカスハラ)
와카바야시 인테리어
밸런스살롱・아카스리 스탭모집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Good Life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