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대비 환원율 2.7%…배당보다 주식소각 늘리는 추세
금융권 주주환원성향 높아…작년 17곳은 주주환원 없어

시총 100대기업 최근 3년 주주환원 규모 변화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국내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주주환원 총액이 2년 새 35%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시총 대비 주주환원 총액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KT&G였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 6월 30일 기준 시총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주주환원 총액은 2022년 33조7천240억원에서 지난해 45조5천784억원으로 11조8천544억원(35.2%) 증가했다.
이 기간 조사 대상 기업들의 시총은 1천405조4천819억원에서 1천664조9천773억원으로 증가하면서 시총 대비 주주환원 총액의 비율은 2.4%에서 2.7%로 0.3%포인트 소폭 높아졌다.

주주환원 상위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주주환원 총액 중 배당 총액은 31조8천891억원에서 37조3천201억원으로 5조4천310억원(17.0%) 늘었다.
배당 총액은 증가했지만 전체 주주환원 총액에서 배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94.6%에서 81.9%로 감소했다.
이는 주식소각이 늘었기 때문으로, 2022년 1조8천349억원이었던 주식소각 총액은 2024년 8조2천583억원으로 6조4천234억원(350.1%) 급증했다.
지난해 시총 대비 주주환원 총액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10.0%를 기록한 KT&G였다.
이어 키움증권(9.1%), 우리금융지주(9.0%), 삼성증권(8.0%), SK텔레콤(8.0%), NH투자증권(7.9%), 하나금융지주(7.8%), 기업은행(7.4%), 기아(7.3%), 삼성물산(7.3%) 순이었다.
상위 10개사 중 6개사가 금융사일 정도로 금융업권의 주주환원율이 높았다.

주당 주주환원 증가율 및 감소율 상위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지난해 주주환원을 전혀 하지 않은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오션, 알테오젠, 삼성중공업, 카카오페이,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SK바이오팜, HLB, 레인보우로보틱스, 휴젤, LG디스플레이,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SKC 등 17곳이었다.
조사 기간 주당 주주환원 총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HD현대일렉트릭으로, 환원액이 주당 500원에서 5천350원으로 970.9% 증가했다.
반대로 주당 주주환원 총액 감소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에쓰오일로, 환원액이 주당 5천501원에서 126원으로 97.9% 감소했다.
jos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