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현장] "30년 농사에 이런 가뭄 처음"…계란만한 감자 씨알에 '한숨'
입력 2025.07.09 05:06수정 2025.07.09 05:06조회수 1댓글0

수확 현장 흙먼지 뽀얗게 일어…강릉시, 양수 장비 대여 등 지원책 강화


가뭄으로 먼지 뽀얗게 솟는 감자밭

[촬영 유형재]

원본프리뷰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30년 농사에 이런 가뭄은 처음이에요."

30도를 넘는 찌는 듯한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린 9일 낮 외국인 노동자 60여 명이 수확 작업을 하는 강원 강릉시 청량동의 한 감자밭.

감자를 수확하는 땅속 작물 수확기가 지나는 곳에서는 흙먼지가 뽀얗게 솟아올랐다.

수확 현장을 바라보는 농민 강모(68)씨는 수심이 가득하다.

지난 3월 20일께 21만㎡의 밭에 심은 감자가 수확량은 절반가량 감소하고 품질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강씨는 파종 후 이어진 가뭄으로 물 대기가 어려워 순이 죽으며 감자가 자라지 못하게 되자 직접 관정을 뚫어 스프링클러 등으로 물을 주고 약을 뿌리며 더 많은 애를 썼으나 결국 가뭄을 완전히 이겨내지 못했다.

황톳빛 맨바닥 드러난 오봉저수지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장마철이지만 강원 동해안에는 마른장마로 가뭄이 지속돼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7일 강릉시민 식수원인 오봉저수지 상류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현재 33.3%로 가뭄이 극심했던 작년의 52.2%, 평년의 65%보다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2025.7.7 yoo21@yna.co.kr

원본프리뷰

350∼400g의 상품을 기대했던 강씨가 올해 수확한 감자는 계란 크기의 평균 200g 안팎이었다.

수확량도 50%가량 감소했다.

강씨는 "30년 농사를 지었는데 이런 가뭄 피해는 처음"이라며 "올해는 감자 농사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등 애를 썼으나 가뭄으로 수확량은 대폭 감소하고 품질은 작년의 반도 안 된다"고 말했다.

강씨는 5월 초에 심은 6만㎡가량의 무밭은 가뭄으로 폐기처분을 해야 할 형편이라고 한숨지었다.

그나마 비교적 농사 규모가 크고 감자밭 옆에 작은 수로라도 있어 물을 어느 정도 이용할 수 있었던 강씨는 형편이 좀 나은 편이다.

살수차 이용 등 물을 주기 어려웠던 농민들은 탁구공 정도 크기의 작은 씨알에 수확량도 뚝 떨어져 한숨짓고 있다.

강릉시는 감자 수확량이 3.3㎡에 평균 9.9㎏ 정도이던 것이 올해는 6.6㎏으로 30% 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한다.

바닥 드러낸 강릉 식수원 오봉저수지 상류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장마철이지만 강원 동해안에는 마른장마로 가뭄이 지속돼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7일 강릉시민 식수원인 오봉저수지 상류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현재 33.3%로 가뭄이 극심했던 작년의 52.2%, 평년의 65%보다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2025.7.7 yoo21@yna.co.kr

원본프리뷰

특히 옥수수와 고추 등의 가뭄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강릉의 평년 6월 강우량이 118.5mm였으나 올해는 18.6mm에 그쳐 평년 대비 약 84%가 감소하는 기록적인 가뭄이 지속하고 있다.

특히 당분간 비 예보도 없어 가뭄 피해 확산이 우려된다.

이에 시는 농업용수 공급의 핵심 기반인 용수시설 346개소에 대한 점검을 완료하고, 양수 장비 58대를 읍면동에 전진 배치했다.

농기계임대사업소 양수 장비도 즉시 대여할 수 있도록 했다.

농업용 관정 37공과 스프링클러, 양수기 추가 신청을 받고 있으며 가뭄에 취약한 밭작물의 용수 공급을 위해 지원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경태 농정과장은 "추가 장비 지원을 통해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가뭄 속 감자 수확 현장

[촬영 유형재]

원본프리뷰

yoo21@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미코아카데미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
재팬고 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