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저출산·고령화 미래 진단 '지금 준비해야 할 미래' 북토크

FKI 한국경제인협회
[촬영 안철수]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저출산·고령화 현상 장기화에 따라 지역·산업별로 노동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할 전망이라 맞춤형 인력 배치 등의 유연한 공급 정책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인구클러스터장)는 세계 인구의 날을 이틀 앞둔 9일 서울 여의도 FKI(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타워에서 열린 '지금,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 출간 기념 북토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책은 이 교수와 한경협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함께 집필했다. 인구 위기와 축소경제 시대 노동시장 변화, 결혼·출산·일자리 문제를 폭넓게 다룬다.
이 교수는 오는 2042년을 기준으로 한 산업별·지역별 노동 공급 전망을 제시하며 서울은 정보통신기술(ICT)업, 부산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경남은 제조업, 경북은 농림어업 분야에서 가장 큰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서울은 30만1천500명, 부산은 10만6천678명, 경남은 10만3천117명), 경북은 12만8천15명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2042년 주요 시도별 노동력 부족규모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이 교수는 "앞으로 총량적 노동력 부족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산업·지역 간 노동수급 불균형이 생기고 노동시장의 미스매치가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라며 "부족한 지역·산업에 필요한 유형의 노동 공급을 늘리거나 대체할 수 있는 정책과 인력 재배치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집필진과의 대화'에 참여한 정철 한경연 원장은 "지금처럼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가속화되는 시대에는 과거의 방식대로 사람을 찾고 자원을 분배하는 방법으로는 문제해결이 어렵다"며 "오히려 '위기 속에서 어떻게 기회를 만들 것인가'를 질문하고 그 해법을 생산성 향상과 제도 혁신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별 패널로는 그룹 원더걸스 출신이자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 중인 '두 아들 엄마' 우혜림과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한 '세 아들 아빠' 정동식 K리그 축구심판이 참석했다.
우혜림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나를 어른으로 성장하게 만든다"고 말하며 주변에 결혼과 출산을 권장했고, 정 심판은 다자녀 가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확대를 강조했다.
s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