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관세전쟁 전선 확대하는 트럼프…'의약품 200%' 거론까지
입력 2025.07.09 03:00수정 2025.07.09 03:00조회수 0댓글0

14개국 상호관세 서한 하루만에 '구리 50%', 반도체·의약품 관세 예고
EU에도 곧 관세 서한 예정…'추가 7개국 공개' 예고로 각국 압박 고삐
WSJ "트럼프, 베선트 재무 등 조언에 상호관세 부과 시점 8월 1일로"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내각회의 주재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EPA 연합뉴스]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관세전쟁의 전선을 넓히며 압박 강도를 높이고 나섰다.

한국, 일본 등 14개국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적시한 '관세 서한'을 보낸 지 하루 만에 구리, 반도체, 의약품 등의 품목에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것이다. 의약품 관세로는 200%를 거론하기도 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은 백악관에서 주재한 내각 회의에서 나왔다. 그는 기자들에게 의약품, 반도체 등에 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며 구리 50%, 의약품 200%의 관세율을 제시했다.

그는 의약품 관련, 최장 1년 반의 유예기간을 준 뒤 이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관세율과 부과 시점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후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구리 관련 조사를 마쳤으며,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거쳐 7월 말이나 8월 1일 관세가 발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약품과 반도체는 이달 말까지 조사를 마친 후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의 대미 구리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어서 직접적인 타격은 크지 않다. 그러나 구리는 전기차, 군사 장비, 전력망을 비롯해 여러 소비재에 필수적인 금속이다. 미국의 관세 부과 시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공급망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은 매년 소비하는 정제 구리의 절반가량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나머지 수입량 약 100만t의 90% 이상은 칠레산, 캐나다산, 페루산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나오자 미국 구리 선물 가격은 급등했다. 종가는 전날 대비 13% 상승, 하루 상승률 기준 198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

[UPI 연합뉴스]

원본프리뷰

반도체와 의약품은 사정이 다르다. 한국의 주력 수출품이기에 한국이 특히 긴장할 수밖에 없는 품목이다.

반도체와 관련해선 미국의 관세 부과는 예견된 수순이었지만, 철강·알루미늄 50%에 이어 구리에도 50%의 품목관세가 책정되면서 반도체에 적용될 관세율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의약품 규모는 39억7천만달러(약 5조4천500억원)에 달해 미국의 관세 부과 시 타격이 불가피하다. 게다가 2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는 그 피해를 더욱 키울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로 미뤄진 상호관세 부과 시점에 대해서도 추가 연장은 없을 것이라며 각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그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연장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다. 서한 발송 뒤 협상 상대국이 좋은 제안을 가져오면 더 미룰 수 있다고 있다고 했던 전날 발언을 또한번 뒤집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반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 브릭스(BRICS) 국가의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재차 위협했다.

중국과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면서도, 며칠 후 EU에 관세 서한이 발송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아마도 이틀 안에 EU에 대미 수출 관세율을 알려줄 것이라며, EU가 미국을 매우 우호적으로 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9일 무역 관련 최소 7개 국가를 공개하고 오후에 몇개국을 추가로 공개할 것이라고 트루스소셜에서 밝혔다.

발표 내용이 상호관세 서한에 대한 것인지 다른 나라와의 무역 합의인지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연속적 관련 발표를 통해 각국에 협상 타결을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압박 발언을 쏟아내며 관세 전쟁의 고삐를 죄고 있지만, 실제 미국인의 부담은 더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14개국에 대한 관세 부과 이후 미국 소비자들이 부담하게 될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17.6%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전 15.8%에서 1.8%포인트 오른 것으로, 1934년 이래 최고치다.

한편 애초 상호관세 부과 시점이 8월 1일로 미뤄진 것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의 조언에 따른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 보도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했을 때 90일 유예를 끌어낸 주역이기도 하다.

noma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미코아카데미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
재팬고 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