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토허제 해제 영향 시작…4월 은행 등 가계대출 5.3조 급증
입력 2025.05.14 03:59수정 2025.05.14 03:59조회수 0댓글0

은행에서만 4.8조↑…한은 "5월도 2∼3월 주택거래 증가 영향 이어질것"
당국 "금리인하 기대, 3단계 스트레스DSR 선수요 등에 증가세 확대 가능성"
은행 기업대출 14.4조↑ 4월기준 5년만에 최대폭…예금 25.9조 '썰물'


토허제 해제 영향 시작…4월 은행 가계대출 4.8조 급증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2025.5.13 nowwego@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임수정 기자 =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과 함께 늘어난 주택 거래의 영향으로 지난달 은행 등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급증했다.

한국은행은 장기적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진정되겠지만, 주택 거래와 시차 등을 고려할 때 일단 이달까지는 상당 폭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이 14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3월 말보다 4조8천억원 많은 1천150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이 3월(+1조6천억원)보다 3조2천억원이나 많고, 지난해 9월(+5조6천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13조9천억원)이 3조7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3천억원)이 1조원 각각 불었다.

은행 가계대출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에 본격적으로 나타났고, 1분기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없어지면서 신용대출도 늘어 전체 가계대출이 4월 상당 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흐름에 대해서는 "특히 3월 주택 거래가 많았기 때문에,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5월 가계대출에 많이 반영될 것"이라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을 앞두고 선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금융 당국과 함께 살펴보고 있다.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3월 하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재시행되면서 서울 주택시장이 다소 진정된 만큼 가계대출도 시차를 두고 점차 진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4월 5조3천억원 늘었다. 3월 증가 폭(7천억원)의 7배가 넘는 규모다.

은행(+4조8천억원)이 증가를 주도했고, 전월 9천억원 줄었던 2금융권도 5천억원 증가하며 한 달 만에 도로 늘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4조8천억원 불어 3월(+3조7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고, 신용대출도 1조2천억원이나 뛰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리 인하 기대, 5월 가정의 달 수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월·분기·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를 비롯해 가계부채 관리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자금조달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지난달 은행의 기업 대출은 14조4천억원(잔액 1천338조7천억원)이나 뛰었다. 앞서 3월 2조1천억원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도로 늘었다.

같은 4월 기준으로는 2020년 4월(+27조9천억원) 이후 5년 만에 최대 증가 기록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6조7천억원, 7조6천억원 늘었다.

박 차장은 "1분기 말 자본 비율 관리를 위해 기업 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은행들이 다시 기업 대출을 재개한 데다가 미국 관세정책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특수은행 중심으로 금융지원책으로 정책성 자금도 지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업 대출 수요 측면에서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대규모 투자를 위한 자금 수요가 살아났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수신(예금)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25조9천억원(잔액 2천412조5천억원) 빠져나갔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부가세 납부와 배당금 지급을 위한 기업 자금 유출, 지방자치단체의 인출 등으로 36조8천억원 급감했다.

정기예금은 대출 확대에 따른 은행의 예금 유치 노력에도 배당금 지급 등에 따른 기업 예금 감소가 겹치면서 5천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24조1천억원)를 중심으로 38조5천억원 불었다.

주요 금융기관 수신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shk999@yna.co.kr, sj9974@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냥스튜디오
우리 파이넌스
성과를 내는 홈페이지 제작
가온부동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