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美 플로리다주립대 "감염병 대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 전략 수립 기여"

면역반응 조절 단백질 규명한 KAIST 김유식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미 공동 연구팀이 몸이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의 면역반응을 안정화하는 단백질 '스위치'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와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차승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병이라는 상반된 상황에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 '슬러프'(SLIRP)를 찾아냈다고 14일 밝혔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체계가 자체의 조직이나 세포를 외부 물질로 오인해 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으로,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면역 과활성화를 유도하는 분자적 기전을 밝히기 위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 소기관)에서 유래한 이중나선 리보핵산(mt-dsRNA)에 주목했다.
이중나선 리보핵산은 바이러스 RNA와 유사해 우리 몸이 바이러스로 착각,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는 단백질 슬러프를 발견, 실제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조직에서 슬러프 발현이 증가한 모습을 확인했다.
슬러프 단백질은 이중나선 리보핵산을 안정화하고 축적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인 쉐그렌 증후군 환자의 혈액과 침샘 세포에서 슬러프와 이중나선 리보핵산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슬러프를 억제한 결과 면역반응이 현저히 감소했다.

슬러프 단백질에 의한 항바이러스 반응 모식도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이는 슬러프 발현량이 적은 사람은 바이러스 감염병에 더 취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실제 인간 베타 코로나바이러스 OC43과 뇌심근염 바이러스 EMCV에 감염된 세포에서 슬러프를 억제할 경우 항바이러스 반응이 감소하고, 바이러스 복제가 증가했다.
김유식 교수는 "슬러프가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에서 공통으로 작동하는 면역 조절자라는 점에서, 슬러프를 타깃으로 한 면역 균형 조절 전략을 다양한 질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츠'(Cell Reports) 지난달 1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jyoun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