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기관 동반매수로 지수 견인…개인은 2천400억원 순매도
삼전·SK하이닉스 강세…'10만 전자'·'60만 닉스' 재탈환

코스피 4,070대 상승 출발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67.00p(1.67%) 오른 4,078.571로 시작했다. 2025.11.17 dwise@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인공지능(AI) 버블 논란 완화와 기술주 투자 심리 회복에 힘입어 17일 상승 출발한 코스피가 장중 4,080선을 회복했다.
이날 오전 11시 16분 현재 코스피는 전장보다 72.18포인트(1.80%) 오른 4,083.75를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67.00포인트(1.67%) 오른 4,078.57로 개장한 직후 4,086.42까지 상승했다가 곧 4,045.40까지 밀리는 등 장초반 변동성을 보였으나 이후로는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천972억원과 529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기관 중에선 연기금이 639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홀로 2천434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을 실현 중이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1천774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304억원 1천405억원 매도 우위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14일 뉴욕증시는 3대 주가지수가 장중 급등락을 보이다 혼조로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각각 0.65%와 0.05% 하락한 반면, 나스닥종합지수는 0.13% 오른 채 장을 종료했다.
'인공지능(AI) 버블' 논란 완화라는 심리적 요인과 메모리 가격 인상 흐름이 부각되면서 최근 약세를 보였던 AI 관련주와 대형 기술주에 되돌림 매수세가 유입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삼성전자[005930]의 일부 D램 가격이 9월 대비 최대 60% 인상됐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견조하다는 점이 재확인된 점이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분위기를 이어받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10만 전자'와 '60만 닉스' 고지를 재탈환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3.40% 오른 10만5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SK하이닉스[000660]도 7.14% 급등한 60만원에 매매 중이다.
미 해군 최고지휘부가 지난 주말 국내 조선소를 현장 방문했다는 소식에 '마스가'(MASGA)로 불리는 한미 조선 산업 협력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HD현대중공업[329180](2.73%)과 한화오션[042660](2.09%) 등 조선주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여타 시가총액 상위주 역시 대체로 주가가 올랐다.
SK스퀘어[402340](5.67%), 두산에너빌리티[034020](1.28%), NAVER[035420](0.6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0.63%), 기아[000270](0.60%) 등이 상승했고, 셀트리온[068270](-3.11%), KB금융[105560](-1.54%) 등이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제조(2.53%)와 대형주(2.05%)가 강세인 가운데 전기·전자(4.10%), 전기·가스(3.21%), 의료·정밀(1.86%), 음식료·담배(1.47%), 기계·장비(1.13%), 유통(1.01%), 운송장비·부품(0.72%) 등이 오르고, 종이·목재(-2.15%), 운송·창고(-1.69%), 보험(-1.10%), 비금속(-0.78%), 제약(-0.67%) 등이 내리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30포인트(0.48%) 오른 902.20을 나타냈다.
지수는 6.54포인트(0.73%) 오른 904.44로 개장했다가 한때 하락 반전했으나, 이후 낙폭을 회복하며 상승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은 1천137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22억원, 122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부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코오롱티슈진[950160](5.39%), 파마리서치[214450](5.31%), 보로노이[310210](5.03%), 에이비엘바이오[298380](4.59%), 삼천당제약[000250](3.09%) 등이 상승했고, HLB[028300](-1.21%), 에코프로(-0.33%) 등은 약세다.
hwangc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