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작년 응급실 이용 19% 감소…'경증·비응급' 비중 9.7%p 줄어
입력 2025.11.04 12:02수정 2025.11.04 12:02조회수 2댓글0

중등증 이상 환자가 60% 이상…소요시간 30분∼2시간 미만이 27.2%


응급실로 이송되는 환자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해 병원 운영에 차질을 빚었던 작년 한 해 환자들의 응급실 이용이 19%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사태가 벌어질 당시 정부가 경증 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을 자제해달라고 거듭 당부하면서 응급실을 찾은 경증·비응급 환자 비중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4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응급실 이용 건수는 784만4천739건으로 직전 해인 2023년 964만2천461건 대비 179만7천722건(18.6%) 줄었다.

인구 1천명당 전국 응급실 이용 건수 역시 작년 153.2건으로 2023년 187.9건 대비 34.7건(18.5%) 감소했다.

응급실 이용 환자의 내원 수단은 자동차, 도보 등으로 스스로 방문한 경우가 71.6%에 달했다. 이어 119구급차(23.9%), 기타 구급차(3.6%) 순이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응급실까지의 도착 소요 시간은 30분∼2시간 미만(27.2%)이 가장 많았다. 이어 24시간 이상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환자가 26.9%로 그다음이었다. 이밖에 2∼4시간 미만(12.2%), 12∼24시간 미만(9.8%) 순이었다.

전공의 업무 공백에도 환자가 응급실까지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

응급실에 도착하는 데 걸린 시간이 30분∼2시간 미만이라는 환자 비중은 2022년 27.8%, 2023년 26.2%로 줄었다가 지난해에 1.0%포인트 늘었다.

24시간 이상 걸렸다는 환자 비중은 2022년 25.2%, 2023년 26.6%이었고 작년에는 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응급실 이용이 줄어든 가운데 중등증 이상 환자 비중은 늘고, 경증·비응급 환자 비중은 감소했다.

응급실 이용 환자의 최초 중증도 분류(KTAS) 결과, 지난해 중증 응급으로 의심되는 중등증 환자(KTAS 3등급)가 전체의 52.9%였다. 중등증 환자 비중은 2022년 43.4%, 2023년 45.7%에서 7.2%포인트 늘었다.

이로써 중증 응급 환자(KTAS 1∼2등급)를 포함한 중등증 이상 환자 비중은 2023년 53.1%에서 지난해 62.7%로 커졌다.

중증도 분류에서 4∼5등급에 해당하는 경증 및 비응급 환자 비중은 지난해 기준 37.2%였다. 전체 환자에서 경증 및 비응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46.9%로 절반에 가까웠으나 지난해 9.7%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jand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