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한국 백신 시장, 연평균 9.5% 성장해 2029년에 15억달러 규모"
입력 2025.11.04 12:01수정 2025.11.04 12:01조회수 1댓글0

보건산업진흥원 분석…"필수 백신 개발 위한 연구·정부 지원 필요"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한국의 백신 시장이 매년 10%가량 성장해 4년 뒤면 15억 달러(약 2조1천500억원)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의 조사를 인용한 국내외 백신 시장 동향 분석에 따르면 국내 백신 시장은 지난해 9억4천840만 달러에서 올해(10억2천480만 달러) 10억 달러 규모를 돌파한 뒤 2029년 14억9천40만 달러(약 2조1천289억원)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기준으로 따지면 2029년까지 매년 평균 9.5% 성장하는 것으로, 같은 기간 전 세계 백신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4.0%)보다 높다.

한국통계진흥원의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백신 수출액은 252만 달러(약 36억원)로, 2019년(143만 달러)보다 76.2% 급증했다.

수출액 대비 수입액을 뜻하는 백신 무역수지는 코로나19 백신 수입 때문에 변동이 컸던 2021년에 1천836만 달러(약 263억원)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 218만 달러(약 31억원)로 안정화했다.

몸집이 커지고 있지만, 필수 백신 확보 등은 과제로 남아있다.

보건산업진흥원이 백신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기업 공개 자료를 조사한 결과, 2023년 12월 기준 기업 36곳이 총 108개의 백신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었다.

코로나19(25개), 인플루엔자(12개), 사람유두종바이러스(10개), 대상포진(7개) 등의 순으로 개발 건수가 많았고, 국산화하지 않은 백신 가운데 MMR(홍역·볼거리·풍진)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은 없었다.

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 백신 산업 육성에는 보건 안보와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며 "필수 백신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국산화되지 않은 백신의 연구개발이 폭넓게 이뤄지고 있으나 MMR 백신 개발 파이프라인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필수 백신 개발의 장애 요소인 항원 확보, 임상시험, 수익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 정부의 흔들림 없는 지원이 유지돼야 한다"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중저소득국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도록 선진국 시장 진출 전략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o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