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장관 회의 '핵심광물 행동계획' 발표

G7 회원국 국기들
[EPA=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미중 정상회담에서 희토류 갈등의 불씨를 일단 유예한 가운데 주요 7개국(G7)이 '핵심 광물 동맹'을 출범하고 대중 견제 수위를 끌어올렸다.
올해 G7 의장국인 캐나다를 비롯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미국의 에너지 장관들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이틀 간 토론토 회의에서 '핵심 광물 생산 동맹'을 체결하고 이행 계획을 공개했다.
이번 동맹은 앞서 지난 6월 G7 정상회의에서 주요 광물 공급망 다변화 등을 목표로 채택된 '핵심 광물 행동 계획'(CMAP)의 구체 실행 조치로 볼 수 있다.
이번 계획은 국방, 청정 에너지, 첨단 제조 공급망에 필수적인 주요 광물 생산 공정 등을 활성화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이에 따라 25개의 신규 투자와 참여국 간 '거미줄식' 파트너십을 맺는 내용 등이 담겼다.
영국 수출금융청은 캐나다 천연자원부, 수출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영국의 미래 공급망 확보는 물론 캐나다 광산 지원에 도움이 되는 재정 지원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탈리아 에너지 기업 에니(ENi)는 캐나다 리튬, 흑연, 희토류 정제와 폐기물 중요 소재 재활용에 필요한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투자를 통해 주요 광물 전략적 생산과 공급망에 진출할 계획이다.
AFP 통신은 이같은 움직임에 "중국이 과도한 지배력을 행사해온 희토류를 포함해 다양한 첨단 기술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다양한 금속의 생산·개발 내용을 포함한다"고 분석했다.
G7가 희토류 공급망 다변화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중국이 글로벌 희토류 생산 공정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희토류는 첨단 기술 분야와 방위산업 등에 필요한 핵심 소재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약 70%, 정제·가공은 80% 이상을 맡고 있다.
G7 에너지 장관들도 이번 조치가 희토류 공급망을 틀어쥐고 있는 중국에 견제구를 날리기 위한 목적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팀 호지슨 캐나다 에너지부 장관은 이번 계획이 "세계에 매우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며 중국을 겨냥해 "우리는 시장 집중도와 의존도를 줄이는 데 진지하게 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희토류 원소가 다량 포함된 바스트네사이트 광석 샘플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라이트 장관은 중국의 시장 영향력 대응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G7 간 견해는 완전히 일치한다며 "그룹 내 의견 충돌은 없다"고 말했다.
라이트 장관은 "솔직히 중국은 비시장적 관행을 통해 전 세계가 이 같은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도록 막았고 그렇게 전략적 지렛대를 얻었다"며 "이제 모두가 그것을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G7의 주요 광물 공급망 연대 강화 흐름에 중국은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고 있으며 희토류 이외의 주요·희귀 광물에 대한 지배권도 놓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인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 대변인은 이날 G7의 광물 동맹 움직임이 알려지자 "G7이 시장경제 원칙과 국제 경제무역 규칙을 확실히 준수하고, 소집단의 규칙으로 국제 경제무역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를 멈추기를 촉구한다"고 강하게 말했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2026∼2027년도 텅스텐·안티몬·백은을 수출하는 국영 무역기업의 보고 조건 및 절차'를 공개하며 희귀 금속 수출 관리를 강화하기도 했다.
kik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