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경항모 쓰촨함, 전투기 전자기식 캐터펄트 발진 시험"
홍콩 SCMP 보도…헬기·드론 이어 함재기 빠른 이착륙 운용 기능도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군이 076형 강습상륙함인 쓰촨함에서 함재기의 '전자기식 캐터펄트(사출기) 이륙 시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3일 보도했다.

중국 소셜미디어 유출 쓰촨함 전자기식 캐터펄트 발진시험 사진
[홍콩 SCMP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SCMP는 상하이의 후둥-중화 조선소에 정박 중인 쓰촨함 내에서 전자기 캐터펄트 발사 시스템이 내륙이 아닌 바다 쪽으로 향한 모습의 사진이 소셜미디어에 전날부터 유포됐으며 상하이 해상안전국도 이달 20∼29일 해당 조선소 부두 앞을 출입 금지구역으로 공지했다고 전했다.
이로 볼 때 중국군이 최근 쓰촨함에서 고정익 전투기의 전자기식 캐터펄트 이륙 시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신문은 짚었다.
대형 비행갑판을 갖춰 'LHD(large landing helicopter doc)함'으로도 불리는 쓰촨함은 경(輕)항공모함으로 작년 말 진수돼 운용 중이다. 헬리콥터 여러 대를 동시 이·착륙시킬 수 있고 공격형 무인기(드론) 운용 전용 항모라는 평가도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군은 필요한 경우 쓰촨함에서 전자기식 캐터펄트 방식으로 함재기를 운용할 목적으로 발진 시험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자기식 캐터펄트 이륙 방식은 함재기를 빨리 이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캐터펄트는 항공모함 갑판에서 함재기를 쏘아 올리는 설비다.
중국의 항모인 랴오닝함과 산둥함은 스키점프대 발진 방식을 쓰지만, 현재 시험 항해 중인 제3호 항모 푸젠함은 전자기 캐터펄트 방식을 쓴다. 미 항모 가운데 제럴드 R. 포드함이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중국은 최근 수십년간 발전시켜온 조선 역량과 IT 기술을 활용해 자체 기술로 미국의 첨단 항모와 비슷한 수준의 푸젠함과 쓰촨함을 개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푸젠함은 8만t급이며 총길이는 316m, 폭은 76m로 J(젠)-35 스텔스 전투기, J-15 전투기 등을 탑재한다. 쓰촨함은 4만t급이며 길이 260m, 폭 52m 수준으로 GJ(攻擊·공격)-11 스텔스 드론을 탑재, 먼바다에서 운용할 수 있는 드론 항모로 통한다.
강습상륙함 쓰촨함은 상륙용 주정(舟艇), 수륙양용장갑차, 헬기 등을 탑재해 대규모 상륙 작전을 지원할 수 있어 대만과 남중국해 등에서 작전 수행에 유용하다는 지적이다.

중국 첫 076형 강습상륙함 쓰촨함
[신화=연합뉴스]
원본프리뷰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