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건설분야 국가자격시험 연 17만명 응시…취득자 신규취업률 56%
입력 2025.06.30 04:08수정 2025.06.30 04:08조회수 0댓글0

청년 비중 44%…2분기 국가기술자격정보집 '자격Q' 발간


[한국산업인력공단 제공]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건설분야 국가기술 자격시험에 연평균 17만명이 응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격 취득자들의 신규취업률은 56%에 달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30일 이런 내용의 건설기계운전 및 건설 배관 관련 14개 주요 종목의 국가기술자격 응시 현황과 고용지표를 담은 2분기 국가기술자격정보집 '자격Q'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건설기계운전 11개 종목, 건설 배관 3개 종목의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자는 약 17만2천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2024년 한 해에는 17만9천160명이 시험에 응시했다.

특히 지게차운전기능사(11만2천929명), 굴착기운전기능사(4만1천582명) 등은 장비 조종 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필수 자격으로서 응시 수요가 높았다.

2023년 기준 전체 응시자 중 20∼30대 청년층 비중은 44.4%에 달했다.

산업인력공단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취득 가능한 국가기술자격을 통해 건설업계 취업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청년층 비율이 특히 높은 종목은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64.8%),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61.1%), 지게차운전기능사(48.5%) 등이었다.

2023년 자격취득자를 대상으로 2024년 건강보험 데이터를 연계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재직률은 50.0%, 신규취업률은 55.8%로 나타났다.

취득인원 500명 이상 종목 중 지게차운전기능사(57.6%), 기중기운전기능사(54.9%), 굴착기운전기능사(52.6%) 등이 취업률이 높았다.

응시 목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취업'이 4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자기개발'(27.3%), '업무능력 향상'(14.2%) 등 순이었다.

전체 응시자 수가 증가 추세를 보이는 중에 굴착기운전기능사는 2021년 5만7천225명에서 2024년 4만1천582명으로 연평균 1.7% 줄었다.

천공기운전기능사도 2023년 1천891명에서 2024년 1천284명으로 약 32% 감소했다.

bookmani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미코아카데미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
재팬고 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