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심폐소생술 시행시 생존율 2.2배

전국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27일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4회 전국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에서 진해노인종합복지관 하트고스톱 팀이 노인의 심정지 상황을 가상해 심폐소생술 연기를 펼치고 있다. 2025.5.27 scoop@yna.co.kr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일반인들이 심폐소생술을 하는 비율이 점차 올라 처음으로 30%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현장에서 곧바로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그렇지 않은 경우의 2.2배에 달했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 사례 1만6천782건 중 1만6천578건(98.8%)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작년 상반기 급성심정지 사례 중 남성은 1만784명, 여성은 5천985명이었다.

[질병관리청 제공]
원본프리뷰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따른 급성심장정지가 전체의 77.8%를 차지했다. 추락이나 운수 사고 등 질병 외 원인에 따른 경우는 21.8%였다.
급성심장정지는 주로 비(非) 공공장소(64.0%)에서 발생했다. 특히 가정(45.1%)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도로나 상업시설 등 공공시설에서의 발생은 17.8%였다.

[질병관리청 제공]
원본프리뷰
이 기간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9.2%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생존율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2019년 8.7%에서 2021년 7.3%로 내렸으나 이후 상승세를 탔다.
발생 원인별로 따지면 질병에 따른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이 10.6%였고, 질병 외의 경우 4.5%에 그쳤다.
혼자서 일상생활을 할 정도로 뇌기능을 되찾는 뇌기능회복률도 2023년 상반기 5.6%에서 지난해 상반기 6.4%로 상승했다.
작년 상반기 구급대원이나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들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30.2%로, 이 항목이 조사된 이래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지역별로 보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서울이 48.5%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11.6%로 최저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원본프리뷰
목격자 등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한 경우 환자의 생존율은 14.3%, 뇌기능회복률은 11.4%였다. 이는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중 각각 2.2배, 3.2배 높은 수준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과 뇌기능회복률이 상승하는 것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과 연관된 고무적인 결과"라며 "현장 목격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더욱 확대되도록 교육자료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있고, 2025년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과 2024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오는 12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so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