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 강제철거…"새 장소 논의"(종합)
입력 2025.10.19 03:23수정 2025.10.19 03:23조회수 0댓글0

미테구청, 가처분 기각 사흘 만에 경찰 동원해 철거


17일(현지시간)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이 철거된 자리에 항의 팻말이 놓여 있다.

[촬영 김계연]

원본프리뷰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독일 베를린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이 5년 만에 강제로 철거됐다. 설치단체는 행정당국에서 소녀상을 돌려받은 뒤 새 장소를 찾을 계획이다.

재독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에 따르면 베를린 미테구청은 17일 오전 7시께(현지시간) 관내 공공부지에 있던 소녀상을 들어내 옮겼다.

미테구청은 지난 14일 철거명령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코리아협의회의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기각된 지 사흘 만에 용역업체와 경찰을 동원해 소녀상을 철거했다. 코리아협의회는 구청의 철거 압박에 소녀상을 테이프로 감아놓고 회원과 지역 주민들이 돌아가며 감시하고 있었으나 강제철거를 저지하지 못했다.

한정화 코리아협의회 대표는 "활동가 3명이 지키고 있었지만 경찰관 25명이 소녀상을 둘러싸고 접근을 막았다"고 전했다.

철거 당시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던 지역 주민 게리 볼퍼(67)는 "경찰차가 여러 대 왔고 동상에 덮개를 씌운 뒤 곧바로 트럭에 실었다. 항의하는 시민들을 경찰이 물리쳤다"며 철거에 15분 정도 걸렸다고 말했다.

철거되는 소녀상

[교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소녀상 존치를 요구해온 시민들은 이날 오전 소녀상이 있던 자리에 '왜 아리(베를린 소녀상 애칭)에게 또다시 폭력을 행사하느냐', '전쟁 준비 대신 평화의 소녀상' 등 문구를 적은 팻말을 놓고 항의했다.

미테구청은 앞서 이달 14일까지 철거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소녀상을 강제로 철거하겠다고 통보했다. 코리아협의회는 철거명령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냈으나 기각됐다.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은 2020년 9월 세워졌다. 미테구청은 임시 예술작품 설치기간 2년이 지났다며 지난해부터 철거를 요구해 왔다.

당국의 철거 압박은 작년 5월 카이 베그너 베를린 시장이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을 만나 소녀상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힌 뒤 본격화했다. 시민단체 등은 그동안 소녀상을 용인해온 베를린시와 미테구 당국이 일본 정부의 로비에 입장을 바꿨다고 의심한다.

볼퍼는 "공공장소 예술작품은 일시적으로만 설치될 수 있다는 결정은 전쟁 중 성폭력의 정치적 맥락을 무시한 관료주의"라며 "베그너 시장이 일본 정부와 손잡았다"고 주장했다.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 5년만에 강제철거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재독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에 따르면 베를린 미테구청은 17일 오전 7시께(현지시간) 전문업체를 동원해 관내 공공부지에 있던 소녀상을 들어내 옮겼다.
사진은 지난 16일 철거 직전 베를린 평화의 소녀상의 모습. 2025.10.17 dada@yna.co.kr

원본프리뷰

미테구청은 지난해 9월에도 소녀상 철거를 명령했으나 당시에는 코리아협의회의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졌다. 법원이 허용한 존치 기간은 지난달 28일까지였다.

미테구청은 이 기간이 지나자 과태료 3천유로(약 497만원)를 부과하고 소녀상을 자진 이전하지 않으면 강제로 철거하겠다고 통보했다.

코리아협의회는 법원의 지난 14일 가처분 기각 결정에 항고한 상태다. 지난해 철거명령을 취소해달라는 본안 소송은 아직 판결이 나오지 않았다.

코리아협의회는 "구청이 소녀상을 어디에 보관했는지 나중에 알려주겠다고 했다"며 "단기, 장기적으로 다시 설치할 장소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dad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