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S&P500, 2차대전 후 4번째 폭락"…서머스 전 美재무 경고
입력 2025.04.07 02:54수정 2025.04.07 02:54조회수 0댓글0

"역사상 가장 큰 자해"…트럼프 관세 맹비난
"소비자 피해까지 합치면 30조 달러" 주장
월가, S&P500 연말 목표가 잇따라 낮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서머스 전 장관은 6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게시물에서 "역사상 미국 경제에 가한 가장 큰 자해"라면서 "(정책이) 전환될 때까지 우리는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3∼4일 미국 대표 주가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이 10.5% 급락한 것에 주목했다.

이번 급락이 1987년 10월 '블랙 먼데이'(-26.4%),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13.9%), 2008년 11월 금융위기(-12.4%) 당시에 이어 2거래일 기준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번째로 큰 하락률이라는 것이다.

로런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부 장관 엑스(X·옛 트위터) 게시물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서머스 전 장관은 "3∼4일 봤던 것과 같이 시장에 더 많은 격변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본다"면서 "이러한 낙폭은 앞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임을 시사하며, 사람들이 매우 조심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기간 S&P 500 시가총액이 5조3천800억 달러(약 7천860조원) 증발한 데 대해서는 "시장에서는 기업 가치가 관세 전보다 5조 달러 적을 것으로 본다"면서 "소비자 손실까지 합치면 30조 달러(약 4경4천조원) 정도가 합리적 (타격) 추정치"라고 주장했다.

이어 "모든 유가가 2배로 뛴 것과 같은 경제 손실에 맞먹는다"면서 "우리는 이런 일을 본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 이날 S&P 500 선물이 장중 5% 넘게 급락한 데 대해서는 시장의 실망감을 반영한다면서 "2차 대전 이후 미국에서 가장 해로운 경제정책일 가능성이 있는 (관세에) 시장이 반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무역상대국에 적어도 10% 관세를 부과하고, 대미 무역흑자가 큰 상대국에는 이보다 높은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적용한다고 2일 발표했다.

이에 중국이 4일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 맞불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관세전쟁이 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6일 "대중국 무역 적자가 해결되지 않으면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정책 수정에 대한 기대감도 낮아졌다.

로런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부 장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할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관세정책에 따라) 경기침체를 고려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밝히는 등 고위 당국자들도 관세정책 방어에 나선 상황이다.

서머스 전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관료들을 비판하면서 "베선트 장관이 자신의 발언대로 관세 충격으로 스태그플레이션(침체 속 물가 상승)이 없다는 데 돈을 걸었다면 재산을 잃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지성적으로 정직한 사람이라면 (관세정책이) 검증된 경제정책이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40년 집착을 반영하는 것임을 안다"면서 "이는 생물학에서 천지창조설, 의학에서 백신 중단과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조언자들이 그에게 이를 말하고 정책에 동참하지 않을 용기가 있는지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의 최근 발언에 대해선 "이러한 모순과 비합리성을 본 적이 없다"고 성토하기도 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선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월가에서도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으며, 대표적 시장 강세론자인 에버코어ISI는 S&P500 연말 목표가를 기존 6,800에서 5,600으로 하향 조정했다.

앞서 RBC캐피털마켓츠·골드만삭스·바클리·야데니리서치 등도 관세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S&P500 연말 목표가를 낮춘 바 있다.

bsch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엽기떡볶이
치맥킹
mamaron_party
mamaron_kitchen
mamaron_tokyo
한터애드
딤채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