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돈내면 누구나 해커되는 '서비스형 랜섬웨어' 北해킹서 확인"
입력 2025.10.19 02:53수정 2025.10.19 02:53조회수 0댓글0

MS "北 랜섬웨어 공격 증가 우려…방어망 피할 방법 찾는 듯"
"北, 무기 지식 노린 피싱도 늘려…러는 나토 겨냥 공격 증가"


북한 IT인력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북한이 사이버 해킹을 하는 과정에서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의 제휴자로 참여한 첫 사례가 보안 분석팀에 의해 확인됐다고 마이크로소프트(MS)가 밝혔다.

서비스형 랜섬웨어란 랜섬웨어를 서비스처럼 판매하는 모델이다. 개발자가 해킹에 필요한 랜섬웨어를 일종의 '제작 대행'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기술력이나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도 쉽게 해킹이 가능해진다.

17일 MS의 연례 '2025 디지털 방어 보고서'에 따르면 'MS 위협 인텔리전스'는 북한의 한 해커가 처음으로 서비스형 랜섬웨어 제휴자로 참여한 사례를 관찰했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북한이 랜섬웨어 사이클의 일부를 외주화해 자체 자원을 표적에 침투하는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며 북한의 랜섬웨어 공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무기 체계와 관련된 지식재산(IP)을 수집하기 위한 (북한의) 피싱 작전의 증가도 관찰했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올해 북한 해커들이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용해 C2(명령 및 제어) 인프라를 숨기는 사례도 관찰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는 방어자들의 공격 탐지 및 차단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북한의 정교함이 발전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아직 초기 단계의 경향성을 보이지만, 이는 북한의 해커들이 방어망을 회피할 새로운 방법들을 탐색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신호일 수 있다"고 짚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해킹 공격은 IT 관련 분야나 학계, 싱크탱크 등에 집중됐다.

IT 업계에 대한 공격이 33%로 가장 많았고, 연구·학문 분야가 15%, 싱크탱크·비정부기구(NGO)가 8%로 뒤를 이었다. 그 밖에 유통(7%), 금융(5%), 제조업(4%) 등에 대한 공격도 관찰됐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50%)이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이탈리아(13%), 호주(5%), 영국(4%) 등도 공격 대상이 됐다. 한국을 대상으로 한 공격은 1%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북한의 해커들이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폐 관련 조직이나 국방·제조업 등에 대한 공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동아시아 정책과 관련한 기관·대학·정부부처 등을 우선 공격 대상으로 삼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중공업 분야와 한국 내 다양한 조직 전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수익 창출과 정보 수집이라는 이들의 임무를 반영한다"고 짚었다.

이 밖에 보고서는 올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에 대한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빈도가 높은 상위 10개국 중 9개국이 나토 회원국이었다.

1위는 미국(20%)이었고, 영국(12%), 독일(6%), 벨기에(5%), 이탈리아(3%) 등이 뒤를 이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가 11%로 3위를 차지하며, 나토 비회원국으로는 유일하게 순위권에 들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나토 회원국을 상대로 하이브리드 전쟁을 수행하고 있다고 경고해왔다"며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증가에 시사점이 있다고 짚었다.

hrse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좋아요
0
댓글0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300
한일생활정보 한터
한터애드
딤채냉장고
한국시장
디지텔
하나송금
코아부동산
신주쿠부동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