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10월 최근 경제동향 발표…"주가상승, 소비 등에 긍정 효과 기대"
"3분기 경제 전반 개선 흐름…지난달과 비슷한 수준 인식"

기재부, 최근 경제동향 그린북 발간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본프리뷰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정부는 3분기 들어 생산·소비 등 주요 지표가 전반적인 개선 흐름을 보이면서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생산·소비 등 주요 지표가 월별 등락 가운데서도 전반적 개선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지난달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로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가 강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이달 표현이 한층 더 낙관으로 읽히지만, 정부는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의 경기 인식이라고 설명했다.
전월 대비 8월 전산업 생산은 건설업(-6.1%), 서비스업(-0.7%)은 감소했으나, 광공업(2.4%)이 증가하며 보합세를 나타냈다.
소매판매(-2.4%), 설비투자(-1.1%) 등은 감소했고, 9월 소비자심리지수(110.1)도 1.3포인트 하락했지만, 전반적인 흐름은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게 정부 평가다.
8월 제조업 평균가동률 상승(74.7%) 등은 향후 설비투자에 긍정적 요인이지만, 국내 기계수주 감소(전년대비 -9.2%)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정부는 전망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7월은 전반적인 산업활동 지표가 좋았고 8월에는 조정을 받는 모습이었지만, 3분기 전체로 보자면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돼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속보성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카드 승인액은 작년 같은 달보다 8.5% 증가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 역시 18.1% 늘며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9월 소매판매는 양호한 소비자심리지수와 카드 국내승인액 증가율 확대 등은 긍정적 요인"이라며 "다만 할인점 카드 승인액 감소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지난달 서비스업은 온라인 매출액 증가와 일평균 주식거래대금이 증가한 점은 긍정적 요인이지만, 이동전화 번호이동자수 감소 등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정부는 판단했다.
온라인 매출액은 1년 전보다 19.9% 증가했다. 일평균 주식거래대금은 19조2천억원으로 6월(22조4천억원) 이후 가장 컸다.
정부는 주식 시장 호조가 1차적으로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나아가 기업 등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1만2천명 늘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석유류 가격 상승 전환 등으로 2.1% 상승했다.
정부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는 표현은 이번 그린북에도 남겨뒀다.
대외 환경과 관련해서도 "글로벌 경제는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추경 신속 집행,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규모 할인행사 등이 소비·지역경제 등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vs2@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