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치·감금 피해자 일부는 범죄 가담 '피의자' 주장도

실종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원본프리뷰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경찰이 캄보디아에서 발견된 20대 실종 여성이 범죄단체 조직원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14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여성 A씨가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유인책'이었다는 제보를 받고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범죄 연루 정황이 드러나지는 않은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실제 범죄 혐의점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는 단계"라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3월 "캄보디아에 간 동생이 범죄에 연루된 것 같다"는 A씨 가족의 실종신고를 접수한 바 있다.
A씨는 인스타그램에 캄보디아 여행 사진 등을 올리다 '위험에 처했다'며 도움을 요청했고, 가족에게는 손가락이 잘린 사진을 보내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사건을 맡은 전북경찰청은 캄보디아 대사관과 함께 현지에서 A씨의 안부를 확인했다. 다만 A씨는 바깥 활동을 하고 연락도 닿는 등 납치·감금 정황은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전북청은 실종 사건을 종결했으나, A씨는 가족의 요청에도 귀국하지 않는 상황이다.

캄보디아 납치 관련 질의하는 박찬대 의원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13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에게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 관련 질의하고 있다. 2025.10.13 hwayoung7@yna.co.kr
원본프리뷰
A씨가 실제 범행에 가담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일부 캄보디아 납치·감금 피해자는 피해자로만 볼 수 없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된다.
범죄수익 세탁이나 보이스피싱 사기에 가담하는 것을 인식하고도 캄보디아로 향하는 피의자도 일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캄보디아 한인회가 구조를 도왔던 사람 중에는 미심쩍은 일자리인 줄 알고도 캄보디아를 찾았으며, 일부는 탈출해 한국에 돌아간 뒤 재입국하는 사례도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사정에 밝은 A씨는 연합뉴스에 "어떤 회사가 간단한 업무를 하는데 한 달에 수천만원씩 주고, 구인하는데 텔레그램으로 연락하겠느냐"며 "대부분은 범죄에 가담하는 것을 알고 나가지 않을까 한다. 이후 한국에서 조사받기 무서워 눌러앉는 경우도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납치 피해자를 단순 범죄 가담자로 보는 시각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가 될 수 있고, 자칫 '범죄자들이니 구할 필요가 없다'는 잘못된 생각까지 나아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폭행과 협박에 못 이겨 범죄에 가담한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다"며 "범죄 혐의는 추후 따져보더라도, 외국에서 납치된 국민을 지키는 일에는 국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readines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